LG화학, 美일리노이에 바이오 플라스틱 공장

우제윤 2022. 8. 16.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곡물기업 ADM과 합작 계약
韓기업으론 미국에 첫 설립
500㎖ 생수병 年25억개 규모
내년 착공, 2025년 완공 목표
원재료 안정적 확보가 강점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왼쪽)과 이안 피너 ADM 수석부사장이 16일 서울 LG화학 마곡 R&D 캠퍼스에서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제공 = LG화학]
LG화학이 미국 곡물기업 ADM(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과 함께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공장을 설립하는 본계약을 맺었다. 한국 기업이 미국에 바이오 플라스틱 공장을 짓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탄소중립 시대를 앞두고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이 점차 커져가는 상황에서 LG화학이 미국 시장 공략에 유리한 고지를 점한 셈이다.

LG화학은 16일 서울 강서구 LG화학 마곡 R&D 캠퍼스에서 ADM과 'LA(젖산) 및 PLA(폴리젖산) 사업 합작법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9월 양사가 주요 조건 합의서(HOA)에 서명한 뒤 이어진 후속 절차로 마침내 구속력 있는 계약을 맺은 것이다.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ADM은 번지, 카길, 루이 드레퓌스 등과 함께 세계 4대 곡물기업으로 통한다. 4개 회사는 영어 앞 글자를 따 'ABCD'로 불린다. ADM은 전 세계 농업 공급망과 곡물 가공 기술을 갖췄고, LG화학과는 식물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 소재 개발에 협력해왔다.

이번 계약에 따르면 두 회사는 식물 기반 제품과 바이오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두 개의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원재료인 젖산 생산법인 '그린와이즈 락틱'은 ADM의 발효 기술력을 활용해 옥수수를 기반으로 한 고순도 젖산을 연 15만t 규모로 생산한다.

LG화학의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력을 바탕으로 설립되는 'LG화학 일리노이 바이오켐'은 그린와이즈 락틱이 만든 젖산으로 연간 7만5000t 규모의 바이오 플라스틱인 PLA를 생산하게 된다. 이 공장에서 나오는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500㎖ 친환경 생수병을 만든다면 약 25억개를 생산할 수 있다. 양사 이사회의 최종 심의가 마무리되는 2023년에 두 합작회사의 공장은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두 개 공장 모두 미국 일리노이주 디케이터에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짓는다.

PLA는 옥수수나 사탕수수를 발효시켜 얻은 젖산으로 만들어지는 대표적인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이다. 인체에 무해해 주로 식품 용기나 빨대, 생수병, 식기류, 티백 등에 쓰인다.

PLA는 일정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수개월 내 자연 분해된다.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도 기존 플라스틱의 4분의 1 이하 수준에 불과해 지속 가능한 친환경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다른 생분해성 소재들과 섞어서 사용할 수도 있어 활용성이 높다.

이 때문에 PLA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빠른 속도로 시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에 원재료부터 제품까지 통합 생산 가능한 PLA 공장을 짓는 한국 기업은 현재로서는 LG화학뿐이다. 특히 4대 곡물기업인 중 하나인 ADM과 합작법인을 설립함으로써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수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PLA의 원재료인 젖산은 대량 수급이 어려워 안정적으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원재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재료를 확보하지 못해 공장 가동이 일시 중단되는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합작법인 설립으로 상업적 규모의 PLA 생산에 필요한 고순도 젖산 생산능력을 확보할 뿐 아니라 다양한 고부가 제품 개발에 바이오 원료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합작법인 설립은 기후변화와 폐플라스틱 등 환경문제 해결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성장전략"이라며 "신성장동력의 한 축인 친환경 소재를 기반으로 빠르게 변하는 시장과 고객에 대응해 시장을 이끌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우제윤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