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인구 53억명 죽는다"..미러 핵전쟁보다 무서운 이 녀석

이상규 2022. 8. 16. 17:3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1945년 8월 두 개의 원자폭탄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각각 투하했다. 이는 사상 최초이자 유일하게 핵무기가 전쟁에서 쓰인 사건이었으며, 일본은 그 해 8월 15일 무조건 항복을 선언했다. 사진은 히로시마 원폭 투하 사흘 뒤인 1945년 8월9일 나가사키에도 원자폭탄이 떨어진 뒤 버섯 구름이 피어오른 모습. [사진출처 = 연합뉴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6개월이 넘는 장기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가 핵전쟁을 할 경우 전세계 50억명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는 끔찍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연구 결과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나온 것이다. 앞서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4월 핵전쟁이 발발할 '심각한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럿거스대 환경과학과 앨런 로보크 교수와 릴리 교수 등이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9개 핵보유국(미국·러시아·중국·프랑스·영국·파키스탄·인도·이스라엘·북한)을 대상으로 6가지 '핵전쟁' 시나리오를 분석했다.

미국-러시아 핵전쟁을 비롯해 인도-파키스탄 등 소규모 핵전쟁도 다뤘다.

연구팀은 핵무기 폭발시 발생하는 재와 먼지가 햇빛을 가려 주변의 기온이 내려가고 어두워지는 이른바 '핵겨울'이 얼마나 이어질지 등을 계산했다.

이를 토대로 세계 각국 기아 상황과 사망자 수 등을 추정한 결과 최소 2억5500만명에서 최대 53억4100만명이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에 대해 "핵전쟁에 따른 해당 국가와 주변국가의 직접적 사망자보다 그 이후 지속되는 핵겨울로 인한 식량난 등으로 발생하는 사망자가 훨씬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최대 핵보유국인 미국과 러시아가 전면전을 할 경우 1억5000만t의 연기와 그을음, 먼지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기후 변화로 3~4년 뒤 세계 식량 생산량의 90%가 사라질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때 발생하는 기아 사망자는 53억4100만명으로 인류 약 70%가 전멸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라고 했다.

로보크 교수는 "미러 핵전쟁이 발발하면 2년 내 세계 인구 75% 이상이 굶주리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구팀은 또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서 소규모 핵전쟁만 벌어져도 500만t의 연기와 먼지 등이 하늘을 뒤덮어 5년 간 세계 식량 생산량이 7% 감소하고, 2억5500만 명이 기아로 숨질 것으로 추정됐다.

그는 "어떤 규모의 핵전쟁이든 세계 식량 체계를 파괴해 인류를 사망으로 몰아 넣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