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만난 빌게이츠 'K-백신 엄지척'..배경엔 '9년 인연' 있었다
" SK라는 아주 훌륭한 파트너와 함께 일하게 됐다. 그 결과 한국이 백신을 개발할 수 있었고 코로나19(COVID-19)뿐 아니라 여러 다른 질병에 대한 보다 나은 백신을 만들 수 있는 실마리를 얻고 있다."
16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을 만난 빌 게이츠 빌앤멜린다게이츠 재단(이하 게이츠재단) 이사장은 이 같이 말했고 윤 대통령은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백신이 개발도상국의 감염병 예방에 크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같은 날 국회 연설에서도 '한국의 견고한 백신 제조 역량'을 강조했다. 이번에 방한한 그와 한국의 연결고리가 '백신'과 '전염병 퇴치'였던 셈이다.
이와 관련, 백신업계에서는 게이츠 이사장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오랜 인연이 재조명된다. 9년 전부터 SK바이오사이언스의 기술력을 알아보고 백신 개발을 지원한 게이츠 이사장은 이 회사가 한국 최초로 만든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 개발에도 약 2800억원을 직간접적으로 쏟아부었다. 스카이코비원은 그가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 백신공급 프로젝트를 통해 저개발국 중심으로 공급될 예정이기도 하다. 그의 이번 방한과 SK바이오사이언스를 떼놓고 볼 수 없는 이유다.
게이츠재단이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의 가능성을 알아본 것은 2013년 무렵인 것으로 파악된다. 2013년을 전후로 게이츠재단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장티푸스, 로타바이러스 등 백신 개발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 당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세계 최초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허가를 앞두고 있었는데, 전염병 예방과 퇴치를 통해 인류 삶의 질을 끌어올리려던 빌게이츠재단의 레이더망에 이 같은 SK바이오사이언스의 기술 경쟁력이 포착됐다.
게이츠 이사장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인연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더욱 깊어졌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이제 실제 접종을 눈앞에 둔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 개발에 착수한 시점은 2020년 5월 이었는데 게이츠재단이 설립을 주도한 감염병혁신연합(CEPI)은 이 무렵부터 스카이코비원 개발 지원에 나섰다. 게이츠 재단과 CEPI 등은 스카이코비원 개발에 총 2억1730만달러(약 2800억원)를 지원했고 이는 한국의 첫 코로나19 백신 탄생의 밑거름이 됐다.
스카이코비원 개발 초기에는 게이츠 이사장이 한국에 스카이코비원의 가능성을 직접 홍보하기도 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2020년 7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에게 직접 서한을 보내 "게이츠재단이 연구개발비를 지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하면 내년 6월부터 연간 2억개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물론 당시 게이츠 이사장의 말대로 백신이 빨리 생산된 것은 아니지만, 한국 백신 제조사의 개발 비전과 스케줄을 타국 사람이 대통령에게 전하며 이를 통한 팬데믹 극복 의지를 강조한 셈이다. 이 무렵부터 1년 이상이 지난 2021년 말까지 우리 정부의 스카이코비원 개발에 대한 직접적 지원은 약 30억원에 불과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그렇게 개발된 스카이코비원은 다른 코로나19 백신과 비교해 안정성과 유효성이 확보된 균형잡힌 백신이라는 평이 백신업계와 의료계에서 나온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스카이코비원은 인플루엔자, B형간염 등 기존 백신에 장기간 활용돼 안정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합성 항원 방식으로 개발됐다"고 말했다.
특히 스카이코비원은 초저온(영하 20도~70도)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이 필수적인 미국산 mRNA계열 백신과 달리 2~8도 냉장 상태로 5개월간 보관 가능해 저개발국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효과적 공급이 가능하다. 백신 사각에 놓인 저개발국 공급에 물꼬를 터, 우리 과학기술이 세계 보건에 기여할 수 있을 만큼 올라섰다는 점을 입증할 기회로도 연결될 수 있는 셈이다.
게이츠 이사장은 이 같은 스카이코비원의 저개발국 공급에도 일정부분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스카이코비원은 추후 국제 백신공급 프로젝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저개발국 중심으로 공급될 예정인데 게이츠 이사장이 이 프로젝트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알려져서다. 코백스 퍼실리티의 공동 주관기구는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CEPI 등인데 두 기관 모두 게이츠 재단의 주도로 설립됐다. 그만큼 코백스 퍼실리티에 대한 빌 게이츠의 영향력이 강한 셈이다. 빌 게이츠의 의중이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한 스카이코비원 국제 지원 전략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학비 6000만원인데 공부 싫어" 30대 로스쿨생 혼낸 서장훈 - 머니투데이
- 이대은♥트루디 "결혼 8개월 만에 각방"…신동엽 깜짝, 왜? - 머니투데이
- '임창정♥' 서하얀, 결국 병원行…"일 많아 하루 한 끼만 먹었다" - 머니투데이
- '♥손준호' 김소현 눈물 "시모와 19세 차이…아들이 듣고 충격받아" - 머니투데이
- '홍서범♥' 조갑경, 치매 시모에 욕까지 들어…"집 가기 무서웠다" - 머니투데이
- 야쿠르트 아줌마들 흥분시킨 '코코'…"매달 30만원 더 벌어" - 머니투데이
- 중고차 가격에 이상한 일…2017년형 그랜저 가격 보고 '깜짝' - 머니투데이
- 마약 투약 유명 연예인, 재활시설 입소비 '50만원' 없어서 - 머니투데이
- 김영사 창업주 김강유 회장 별세…향년 76세 - 머니투데이
- "굳이 싸울 필요 없어서…" '강철 멘탈' 박규현, 中과 충돌 피한 이유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