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러시아 핵전쟁시 53억명 사망..인류 70% 전멸"

이용성 기자 2022. 8. 16. 1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러시아가 핵전쟁을 벌이면 전세계 50억명 이상이 사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946년 마셜제도 비키니 환초에서 미군이 비밀리에 시행한 핵실험 당시 피어오른 버섯구름.

15일(현지 시각)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럿거스대(뉴저지 주립대) 환경과학과 앨런 로보크 교수, 릴리 샤 교수 등이 이끄는 연구팀은 세계 9개 핵보유국을 대상으로 미국-러시아 핵전쟁을 비롯해 인도-파키스탄 등 5개 소규모 핵전쟁 등 총 6가지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푸드’를 통해 발표했다.

연구진은 핵무기 폭발시 ‘핵겨울(핵이 폭발했을 때 발생한 재와 먼지가 햇빛을 가려 주변이 기온이 내려가고 어두워지는 현상)’이 얼마나 이어질지 등을 계산해 관련 데이터를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에서 지원하는 기후예측 도구인 복합지구시스템모델(CESM)에 입력해 각국의 작물 생산성을 추적했다. 가축 목초지와 전 세계 해양 어업에 대한 예상 변화도 조사했다.

이를 토대로 세계 각국 기아 상황과 사망자 수 등을 추정했더니, 최소 2억5500만명에서 최대 53억4100만명이 숨질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핵전쟁이 나면 폭발·열·방사능 등에 따른 해당 국가나 주변국 인구의 직접 사망자보다 그 이후 지속되는 핵겨울과 식량 생산 감소 등으로 굶어 죽는 전 세계 인구가 훨씬 많다는 것. 그동안 핵전쟁 피해와 관련 단편적인 연구는 있었지만 이처럼 다양하고 구체적인 수치를 근거로 한 연구는 없었다.

시나리오별로는 최대 핵보유국인 미국과 러시아가 전면적인 핵전쟁을 벌이면 1억5000만t(톤)의 연기와 그을음, 먼지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기후 변화로 3~4년 뒤에는 세계 식량 생산량의 90%가 사라진다. 이 경우 기아로 사망하는 인구는 53억41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인류의 약 70%가 전멸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곡물 생산량 감소는 미국과 러시아와 같은 주요 수출국을 포함해 중위도 국가에서 가장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자국에서 소비해야 할 식량이 부족해져 수출 제한이 이뤄지면 아프리카·중동 등 수입 의존도가 높은 대륙의 국가들은 극심한 혼란에 빠질 수 있다. 로보크 교수는 “미국과 러시아 간 핵전쟁이 나면 2년 이내에 세계 인구의 75% 이상이 굶주리게 될 것”이라며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모두 재활용하고 가축 사료용 곡물까지 모두 인간 식량으로 돌려도 사망자는 50억8100만명에 이른다”고 설명했다.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서 소규모 핵전쟁만 벌어져도 500만t의 연기와 먼지 등이 하늘을 뒤덮어 5년 간 세계 식량 생산량이 7% 감소하고, 2억5500만 명이 기아로 숨질 것으로 추정됐다. 이들 국가가 더 큰 규모의 핵전쟁을 벌이면 4700만t의 그을음과 먼지 등이 발생하고 기아 사망자는 25억1200만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핵무기 폭발로 인한 직접 사망자 수는 인도-파키스탄 소규모 핵전쟁 시 2700만명, 미국-러시아 전면 핵전쟁 시 3억6000만명으로 추산됐다.

로보크 교수는 “어떤 규모의 핵전쟁이든 세계 식량 체계를 파괴해 인류를 사망으로 몰아넣을 것”이라며 “핵무기가 존재하는 한 세계는 핵전쟁 위기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일한 장기적 해법은 핵무기 금지 밖에 없다”며 “이 연구는 핵무기 보유국들이 지금 당장 유엔 핵무기금지조약에 서명해야 한다는 것을 명백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러시아·중국·프랑스·영국·파키스탄·인도·이스라엘·북한 등 9개국 이다. 세계 66개국이 2017년 채택된 유엔 핵무기금지조약을 비준했지만 이들 핵무기 보유국은 비준을 하지 않았다. 올 1월 기준 이들 국가의 핵탄두 규모는 러시아(5977기)가 가장 많고 미국(5428기), 중국(350기), 프랑스(290기), 파키스탄(165기), 인도(160기), 이스라엘(90기), 북한(20기) 등 순이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