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개월 前 "쌀, 北 지원하면 군량미 전환"..尹대통령, 지금은 왜
윤석열 대통령이 담대한 계획의 일환이라며 지목한 대북 식량 공급프로그램에 대북 쌀 대량 공급책 포함 여부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이 국민의힘 대선후보 본경선에 들어갔던 2021년 10월 "안보 차원에서 쌀을 너무 많이 주는 것도 좀 (부적절하다)"는 견해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윤 대통령은 전날 광복절 경축사에서 "저는 북한이 핵 개발을 중단하고 실질적인 비핵화로 전환한다면 그 단계에 맞춰 북한의 경제와 민생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담대한 구상을 지금 이 자리에서 제안한다"며 북한에 대한 대규모 식량 공급 프로그램을 언급했다.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대규모 식량 공급 프로그램'은 북한이 유엔 대북 제재 품목인 북한산 광물을 팔아 식량을 구입할 수 있는 방안을 터주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우리가 북한의 인도적 지원을 논의하면서, 식량과 자원을 교환할 수 있는 전향적 조치들을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이는 1990년 쿠웨이트 침공 이후 무역 분야에서 유엔으로부터 포괄적인 제재를 받은 이라크가 식량, 의약품 등 인도적 물자 구입 목적의 석유수출을 허용 받았던 조치와 비슷하다. 이라크는 석유 수출 대금을 에스크로 방식(상거래 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제3자가 중개하는 것)으로 유엔 계좌에 예치하고, 그 대금을 통해 필요한 물자를 구매할 수 있었다.
윤 대통령이 토론회에서 문제시했던 문재인정부 식 인도적 지원 제안과는 차이가 나는 대목이다. '비핵화 진전'이 조건이고, 식량 공급이 무상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다.
대통령실의 청사진 대로면 북측도 쌀·옥수수 등 식량을 광물 매각을 통해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북 제재 면제는 윤석열정부가 아니라 유엔 등 국제 사회가 논의할 차원의 문제여서 사전 조율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다만 식량 공급 제안 방식·북중 관계 등을 언급하며 북측의 호응 여부에 대해선 부정적으로 보는 분석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대북 강경 이미지 완화와 북한과 협력할 의사가 있다는 이미지를 대내외적으로 확산시킬 수는 있겠지만, 당사자인 북한이 이를 수용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것이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비핵화 협상을 위한 주체로서 한국을 상정했다. 북한의 일방적 선 비핵화를 요구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되 포괄적 합의를 담은 로드맵을 강조했다"고 경축사의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북측의 입장과 관련, "이렇게 공개적으로 해서 마치 자신(북한)들의 식량 부족을 공개적으로 인정해서 한국이 시혜를 베푸는 형태로 하는 건 절대로 안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북한의 식량 사정이 심각하면 중국이 북한에 대규모로 식량을 지원해왔기 때문에 북한이 북한 광물과 한국 식량을 교환하는 방안을 수용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학비 6000만원인데 공부 싫어" 30대 로스쿨생 혼낸 서장훈 - 머니투데이
- 이대은♥트루디 "결혼 8개월 만에 각방"…신동엽 깜짝, 왜? - 머니투데이
- '임창정♥' 서하얀, 결국 병원行…"일 많아 하루 한 끼만 먹었다" - 머니투데이
- '♥손준호' 김소현 눈물 "시모와 19세 차이…아들이 듣고 충격받아" - 머니투데이
- 팔랑귀에 母 집까지 팔아 사업…"10억 날렸다" 헬스 트레이너의 고민 - 머니투데이
- "이래서 이혼했네"…맞선 자리서 보이면 안 되는 남여 '행동'은
- "중3 때 임신→남친 설득에 자퇴해"…배윤정 "욕 나올 뻔" 분노
- 단지 내 '묻지마 폭행' 男, 주민에게 덜미…잡고 보니 상습범?
- 지드래곤, 결국 YG 떠나나…"전속계약 만료, 별도 계약 통해 협력 중"
- 환청 듣고 자기 욕한다고 착각…이웃 찾아가 흉기 휘둘렀다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