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코픽스 '역대 최대' 0.52%P 상승..주담대 금리 6%대 뚫었다
시중은행의 고금리 예·적금 상품으로 이동한 수십조 원의 돈이 대출 금리를 밀어 올리는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수신금리를 토대로 산출한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가 역대 최대 폭으로 오르면서 차주(대출받은 사람)의 이자 부담이 커지게 됐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7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가 전달 대비 0.52%포인트 오른 2.90%라고 16일 공시했다. 0.52%포인트는 코픽스가 발표되기 시작한 2010년 1월 이후 역대 최대 상승 폭이다. 지난 6월 기록했던 역대 최대 상승 폭(0.4%포인트)을 한 달 만에 갈아치웠다.
코픽스 상승분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즉각 반영된다. KB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이날 3.92~5.32%에서 17일 4.44~5.84%로 오른다. 우리은행의 변동금리도 이날 4.79~5.59%에서 17일 5.31~6.11%로 오른다. 금리 상단이 하루 사이에 5%대에서 6%대로 오르는 셈이다.
코픽스가 뛰어오른 것은 은행 수신금리가 오른 데다, 이들 고금리 수신상품으로 시중 자금이 급격히 몰렸기 때문이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다. 은행이 취급한 예·적금, 은행채 등 수신상품 금리가 인상 또는 인하될 때 이를 반영해 상승하거나 하락한다.
실제로 고금리 수신상품 잔액은 수십조 원 급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전달보다 31조7000억원 불었다. 한은이 이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1월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이런 흐름이 코픽스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 것이다.
같은 기간 예금은행의 수시입출식 예금 잔액은 전달보다 53조3000억원 급감했다. 이 역시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대 감소 폭이다. 은행 수시입출식 예금은 일반적으로 금리가 연 0.1%에 불과하다.
코픽스가 많이 오르고, 이를 반영해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도 뛰면서 은행이 판매하고 있는 ‘금리 상한’ 특약의 인기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의 차주가 금리 상한 특약에 가입하면 금리 상승 폭이 연간 0.45~0.75%포인트로 제한된다. 또 5년간 2%포인트까지만 인상된다.
특약에 가입할 때는 최대 0.2%포인트의 프리미엄(가입비)이 대출 금리에 가산된다. 현재 시중은행은 1년간 한시적으로 프리미엄을 전부 또는 일부 감면하고 있다.
한편 이날 은행연합회가 공시한 지난달 말 잔액 기준 코픽스는 2.05%로, 전달 대비 0.22%포인트 상승했다. 신 잔액 기준 코픽스는 1.62%로 전달 대비 0.20%포인트 올랐다. 잔액 및 신 잔액 기준 코픽스의 상승분은 시장금리에 서서히 반영된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동훈 처조카 논문에 연세대 외숙모 의대 교수 이름
- 서울 두발 단속·일제 소지품 검사 부활하나
- 현아·던 ‘럽스타그램’은 계속…재결합설 뒷받침
- ‘신해철 사망사고’ 의사, 또 의료사고로 환자 숨져 실형
- 이런 실수…‘고향사랑기부금’ 낸 손흥민, 세액공제 못 받나
- 김부겸 “한국사회 지금 정서적 내전 상태, 더 나가면 나치즘”
- 집값 폭등에 떠밀렸나…경기도 작년 인구 1400만명 육박
- 커터칼로 택시 44대 뒷좌석 ‘쓱’···왜 그랬나 물으니
- 안철수 손 맞잡은 이준석 “정당의 민주적 운영” 강조
- 새마을금고를 보면 보인다, 한국이 왜 ‘갑질 지옥도’ 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