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원주연수원서 6천점 이상 통신사료 보관..내·외부 최초 공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KT가 원주연수원 통신사료관에 보관 중인 6천점 이상 통신사료를 공개했다.
KT 통신사료관이 외부에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KT는 16일 오전 미디어 매체를 대상으로 원주 KT통신사료관 프레스 투어를 개최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사료를 외부에 공개했다.
KT는 통신사료관을 통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사료들을 보관해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KT가 원주연수원 통신사료관에 보관 중인 6천점 이상 통신사료를 공개했다. KT 통신사료관이 외부에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KT는 16일 오전 미디어 매체를 대상으로 원주 KT통신사료관 프레스 투어를 개최하고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사료를 외부에 공개했다.
KT 사료는 대한민국 통신 역사와 맥을 함께한다. KT는 통신사료관을 통해 역사적 가치가 있는 사료들을 보관해왔다.
보관 중인 사료는 약 6천점이다. 19세기 말 사용된 전화기부터 스마트폰에 이르는 통신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벽괘형 공전식 전화기를 비롯한 최초의 다이얼식 전화기, 인쇄전신기 등 문화재로 등록된 사료도 다수 보유하고 있다.
가장 오래된 사료는 1800년대 말 사용된 전화기 덕률풍이다. 텔레폰 영어 발음을 한자식으로 표기하면서 만들어진 명칭으로, 황제가 중요한 일이 있을 때 신하와 직접 통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대별 공중전화도 즐비하다. 공중전화가 국내 첫 설치된 것은 약 120년 전으로, 당시 이용요금은 400Kg 쌀 다섯가마니를 살 수 있는 금액인 50전이었다. 1982년 국내 기술로 개발한 공중전화가 나오면서 보편화됐다.
시대별 전화번호부도 보관돼 있다. 1966년 들어 가입자 수가 많아지면서 전화번호부가 발행됐다. 당시 KT는 유선전화 가입자들이 전화번호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1년에 1부씩 무료로 전화번호부를 배포해왔다.
이인학 KT 정보통신연구소장은 "KT가 원주에 보관하고 있는 통신사료들은 우리나라 정보통신 흐름에 따른 시대상과 국민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다"며 "KT가 대한민국 통신 역사의 본가인 만큼, 앞으로도 미래 ICT 역사에서 주역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KT vs KT 5G 중간요금제 격돌…무엇이 다를까 [IT돋보기]
- KT AI통화비서, 외식업 대상 '전화예약 자동화' 도입
- NST,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상목 신임 원장 선임
- 에스티큐브, 바이오USA서 기술이전 후속 미팅 진행
- "美 싫어도 아이폰은 못 참지"…애플, 中 스마트폰 시장 1위
- ESG 경영 시동 거는 현대엘리베이터…이사회 내 소위원회 신설
- 울산시 "6월 5일은 환경의 날···기념행사 다채"
- [시승기] AMG 주행감성 그대로…메르세데스-벤츠 고성능 전기차 'AMG EQE'
- [단독] "60만원 주고 샀는데"…다이슨, '고데기' 배터리 방전·AS 논란
- 서울시, 국장급 승진인사 단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