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협상 복원' 기싸움..美 "이란, 과한 요구 철회하라"

김태욱 기자 2022. 8. 16. 14: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란 핵협정(JCPOA)이 복원되기 위해서는 이란이 과도한 요구사항을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영국과 함께 JCPOA를 체결했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전임자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파기한 JCPOA를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협상은 이란이 미국에 자국 혁명 수비대를 테러 단체에서 배제할 것을 요구해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란 핵협정(JCPOA)이 복원되기 위해서는 이란이 과도한 요구사항을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JCPOA 당사국 관계자들이 합의 복원을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 모인 모습. /사진=로이터
이란 핵협정(JCPOA)이 복원되기 위해서는 이란이 과도한 요구사항을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15일(이하 현지시각) 로이터에 따르면 네드 프라이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유럽연합(EU)이 전해온 최종 문건에 대한 (미측)의견을 전달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란은 지난 2015년 미국·중국·프랑스·독일·러시아·영국과 함께 JCPOA를 체결했다. 합의 내용은 이란이 우라늄 농축을 제한하는 대신 국제사회가 대이란 제재를 대폭 해제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지난 2018년 5월 일방적으로 JCPOA를 탈퇴했다.

이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는 전임자인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2018년 파기한 JCPOA를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협상은 이란이 미국에 자국 혁명 수비대를 테러 단체에서 배제할 것을 요구해 교착 상태에 빠졌다.

이란 혁명 수비대는 이란의 정규군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019년 이란 혁명 수비대를 외국 테러 조직(FTO)으로 지정했다.

[머니S 주요뉴스]
"760조 美시장 노린다"… 7.9%에 도전 韓제약·바이오
"다음은 네 차례야"… 해리포터 작가 협박 당했다
72만 유튜버 '사기' 혐의… 음식 다 먹고 '충격 거짓말'
'돌싱글즈' 이창수, 여친 생겼다더니… 고깃집 데이트?
휴가 중 봉변 당한 여가수… 자택에 강도 들었다?
"복권, 이렇게 해야 당첨돼"… 200억 거머쥔 남성
신림동 침수 반지하서 극적 구조… "에어포켓에 버텨"
"역시" 이재용, 부산 고깃집서 '팁' 얼마 줬나 봤더니
"울프컷 망했다더니"… 이효리, 이젠 찰떡 소화
"주말 데이트" '싱글맘' 채림, 6살 아들 자랑

김태욱 기자 taewook9703@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