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년 한국 통신 역사 한눈에..KT 원주 통신사료실 가보니

조승한 2022. 8. 16. 1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일 강원 원주 KT 원주연수원 내 통신사료실, 두 층으로 나눠진 공간에 들어서자 나무로 만들어진 100여 년 전 전화기부터 삐삐와 개인휴대통신(PCS) 단말에 이르기까지 각종 전화기가 진열장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손잡이를 돌려 전력을 만들어 전화를 걸어야 하는 벽괘형 자석식전화기부터 송수신기가 일체화된 전화기, 국내 첫 다이얼식 전화기 등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제품들을 순서대로 따라가자 국내 통신 변천사가 한눈에 들어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초기 전화기·교환기 등 통신사료 6천여점 보관
KT 원주 통신사료실 [촬영 조승한]

(원주=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16일 강원 원주 KT 원주연수원 내 통신사료실, 두 층으로 나눠진 공간에 들어서자 나무로 만들어진 100여 년 전 전화기부터 삐삐와 개인휴대통신(PCS) 단말에 이르기까지 각종 전화기가 진열장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손잡이를 돌려 전력을 만들어 전화를 걸어야 하는 벽괘형 자석식전화기부터 송수신기가 일체화된 전화기, 국내 첫 다이얼식 전화기 등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제품들을 순서대로 따라가자 국내 통신 변천사가 한눈에 들어왔다.

KT는 이날 우리나라의 통신 역사를 담은 각종 통신장치와 인쇄물 등을 보관 중인 통신사료관을 공개했다. KT 통신사료관 전체가 외부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사료관에는 137년 전인 1885년 한국전보총국 개국과 함께 시작된 한국 통신 역사 곳곳에 등장한 물품들이 보관돼 있었다.

KT 통신사료실에 전시 중인 초기 전화기 [촬영 조승한]

1800년대 말 '텔레폰'이라는 영어발음을 한자식으로 표기하며 만들어진 전화기 '덕률풍'을 비롯해 전화기를 들면 교환기에 신호 램프가 들어와 교환원이 연결하는 방식의 초기 전화기들이 다수 있었다.

이런 전화기들은 이후 다이얼식이 등장해 자동으로 교환기를 동작시켜 연결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사료관에 전시된 자석식 100회선 단선 교환기와 공전식 교환기에 연결된 초기 전화기를 들어보자 신호가 들어왔음을 알리는 숫자창이 나타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TDX-1 설명하고 있는 이인학 정보통신연구소장 [촬영 조승한]

사치품 취급을 받던 전화는 1984년 세계 열 번째로 자체 개발한 한국형 전전자교환기 'TDX-1'이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대중화된다. TDX-1은 설치에만 1년이 걸리던 전화 개설을 자유롭게 해 주며 국내 통신 발전을 가속했다.

이날 사료관 해설을 맡은 이인학 정보통신연구소장은 "TDX-1을 자체생산하면서 공급이 충분히 늘어 전화를 맘대로 할 수 있게 됐다"며 "전 가구에 전화가 다 설치된 혁명 때문에 국내 정보통신 발전이 가속화됐다"고 설명했다.

자석식 교환기 설명하고 있는 이인학 정보통신연구소장 [촬영 조승한]

전보를 주고받는 전신기도 모스부호를 전달하는 전신기부터 타자기를 치며 종이에 메시지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전신기까지 다양했다.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인쇄전신기는 텔렉스를 이용해 내용을 저장했다가 송수신할수 있도록 해, 한국 수출업무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고 KT는 설명했다.

사료관에는 이 밖에도 선로나 케이블, 전신시설과 같은 시설장치와 전화번호부 같은 인쇄물, 시청각 자료, 기념품 등이 전시돼 있었다.

시대별로 조금씩 모양이 바뀌어 간 공중전화 전화기와 1966년부터 처음 발행된 전화번호부도 시대별로 볼 수 있어 통신 역사 변화를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KT 통신사료실에 보관된 삐삐와 공중전화기 [촬영 조승한]

현재 사료관에 보관한 통신사료는 총 6천150점이며, 이 중 8점은 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통신사료 수는 통신 기술 발전과 함께 늘고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KT 관계자는 "지금도 매년 철거하는 시설들이 생기면서 (사료의 수가)늘어나고 있다"며 "보관가치가 있는 것들을 분류해 모으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통신사료의 가치 제고와 기업 역사 보존을 위해 2015년 전국 각지에 흩어진 통신사료를 원주에 모아 사료관을 만들었다.

최근 개봉한 1980년대를 다룬 첩보영화 '헌트' 촬영에도 통신사료관에 보관 중인 인쇄전신기 8대가 지원되는 등 과거 정보통신 구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KT는 설명했다.

이인학 소장은 "KT가 원주에 보관하고 있는 통신사료들은 우리나라 정보통신 흐름에 따른 시대상과 국민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역사적 가치가 아주 높다"며 "KT가 대한민국의 통신 역사의 본가인 만큼 앞으로도 미래 정보통신기술(ICT) 역사에서 주역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shjo@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