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주택거래 총액 85조..10년 전 수준으로 '뚝'
금리인상 등의 여파로 주택거래가 얼어붙으면서 올 상반기 주택 매매거래 총액이 100조원 이하로 줄었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 총액,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 등이 대부분 10년 전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주택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해 16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올 상반기 전국 주택 매매거래 총액은 84조9000억원으로 2019년 상반기 84조3000억원 이후 처음으로 100조원 밑으로 떨어졌다. 2013년 상반기 82조3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으로 역대 반기 최고거래액을 기록한 2020년 하반기 201조4000억원보다 57.8%, 2021년 하반기보다는 35.3%가 뚝 떨어졌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 총액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48조7000억원, 지방 36조2000억원이다. 수도권은 2013년 상반기 45조9000억원 이후, 지방은 2019년 상반기 32조원 이후 거래 금액이 가장 적었다.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수도권 39.4%, 지방 28.9%가 감소했다. 상승폭이 크고 호황이 길었던 수도권에서 수요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상대적인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아파트만 떼어내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총액을 보면 2022년 상반기 48조3000억원으로 2012년 하반기 44조9000억원을 기록한 이후 약 10년만에 가장 적었다. 아파트 거래액이 가장 많았던 2020년 하반기 152조7000억원과 비교하면 104조4000억원(68.4%)이 급감했고, 전기인 2021년 하반기(86조3000억원)에 비해서는 44.0% 줄어들었다. 직방은 “금리인상 등 시장 침체가 전체 주택 시장보다 아파트 시장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아파트 외 주택의 올 상반기 매매거래 총액은 단독다가구 17조6000억원, 연립다세대 13조9000억원, 오피스텔 5조2000억원으로 조사됐다. 최대 금액을 기록했던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29.5%, 34.2%, 25.0% 줄어든 수치다. 직방 측은 “아파트의 매매거래 총액 감소에 비해 아파트 외 주택은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적었으나 아파트 시장에 후행하는 시장 특성을 감안하면 올해 하반기 거래 위축이 더 심화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반성도 안 하는데 왜 굽히나”…尹 지지자도 등 돌렸다
- 김건희 도이치 계좌 모른다, 모른다···권오수를 가리키는 진술들
- ‘유연석 인성 폭로’ 누리꾼, 사과문 게시 “질투심에 그만”
- 대장동 수사···‘428억원 약정’ ‘50억 클럽’ 의혹도 물음표만
- 연 9.4% 이자에도…긴급생계비 대출 상담 예약 첫날 문의 폭주
- “윤석열 정부 굴종 외교”…TK 지식인도 비상시국선언
- 탈북 외교관 “김주애 등장 후 김여정·리설주 권력암투”
- “조기 교육”이라며 생후 1개월 아들 안고 대마 연기 내뿜은 아빠
- 원주서 ‘음주 운전’ 딸 SUV에 60대 어머니 치여 사망
- “뺑뺑이만 2만보”“주말 롯데월드냐”···동원예비군 리오프닝에 ‘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