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 생태거점 만든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들의 먹이식물을 심어 생태 거점을 만든다.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16일 오후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에 겨울철새인 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새섬매자기를 심는다고 15일 밝혔다.
명지갯벌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중 하나이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의 먹이원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에 겨울철새들의 먹이식물을 심어 생태 거점을 만든다.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부산 낙동강하구에코센터는 16일 오후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에 겨울철새인 고니류의 먹이식물인 새섬매자기를 심는다고 15일 밝혔다.
새섬매자기는 염분에 강한 사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바닷가 습지에 분포한다. 새섬매자기의 땅속에서 자라는 덩이줄기는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의 주요 먹잇감이다. 명지갯벌은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대표적인 새섬매자기 군락지 중 하나이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고니, 큰고니, 혹고니 등 고니류의 먹이원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명지갯벌 새섬매자기 군락지는 염분농도 불균형, 주변 난개발 등의 이유로 면적이 2005년 75만 2719㎡에서 2018년에는 26만 6184㎡로 10여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지난해부터 생태계 복원을 위해 낙동강 하구에 새섬매자기를 심고 군락지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는 명지갯벌과 을숙도 남단 일대에 새섬매자기 모종 5만 포기를 심었다. 새섬매자기 생육 시기를 고려해 매년 6~8월에 식재를 해야 하는데 지난 7월에 1차로 5000포기를 심고 8월 말까지 5만 5000포기를 심어 총 6만 포기 식재가 예정됐다.
류연기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낙동강 하구의 안정적인 기수역 조성을 통해 하구역 새섬매자기 등 기수생태계 복원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새섬매자기 군락지 조성으로 낙동강 하구가 겨울철새 이동의 중요한 생태 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유용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남편 출근하자 이은해·조현수 성관계”…증언 나왔다
- “자녀있다는 말에…” 모텔에서 여자친구 살해한 40대男
- “친구가 술 먹고 한강에 들어갔어요” 20대 실종… 수색 중
- 비폭력 정신 어디에…스님들 ‘충격’ 주먹질 처음 아니었다
- 모텔=성관계 동의? 남성 ‘긍정’ 여성 ‘부정’ 많았다
- “내 딸 대학병원 교수야”…60대 벤츠녀, 이웃에 욕설
- “4살 딸 씻겨보고 싶다는 시누남편 불쾌…예민하다고요?”[이슈픽]
- “조금만 버텨! 숨 쉬어!”…숨 참으며 ‘내 이웃’을 구했다
- “우크라이나는 일종의 사격장”…女사령관의 최후
- 손자 전화기 찾으려다 ‘무단침입’ 고발된 할머니…결국 ‘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