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자전거길 붕괴 반복..연안정비가 해법?

정상빈 입력 2022. 8. 15. 22:0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춘천] [앵커]

고성군에서 연안 침식으로 인한 피해가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특히, 해변에 만든 자전거길의 경우도 마찬가진데요.

2년 전에 이어 이달 초에 또 무너졌습니다.

정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안선을 따라 만든 자전거길입니다.

파도에 모래가 깎여 나가면서, 기둥 아래가 완전히 드러났습니다.

기둥은 흔들려 금방이라도 떨어져 나갈 듯합니다.

우수관로와 구조물들은 부서진 채 백사장에 널브러졌고, 가로등도 쓰러졌습니다.

자전거길 출입은 통제됐습니다.

[한호선/고성군 송포리 : "(위험해서) 안 다니죠. 주민들이 저리로 넘어 다니는데, 진짜 많이 다녀요, 운동 삼아. 위험하죠."]

쌍떼빌 송포 해변은 2015년부터 연안 침식 심각 우려 지역으로 분류돼 관리돼왔습니다.

2년 전에도 너울성 파도 등으로 모래가 쓸려나가며 비슷한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고성군은 연안정비사업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남택주/고성군 도로시설담당 : "복구하여도 재발할 수 있는 상황이 많기 때문에 해안 침식 방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복구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연안정비사업에 필요한 예산은 140억 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 때문에 오히려 해안가를 따라 만든 시설을 철거하고, 내륙으로 옮기는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됩니다.

[김인호/강원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과 교수 : "관광객 유치를 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해안 침식으로 인해서 자칫 흉물로 변해서,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는 겁니다."]

해안가를 따라 적지 않은 관광시설이 들어선 강원 동해안.

연안 침식의 원인을 찾고 피해를 막는 동시에, 해안 시설 조성 기준을 새로 정립하는 부분도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정상빈입니다.

촬영기자:구민혁

정상빈 기자 (normalbean@kbs.co.kr)

저작권자ⓒ KBS(news.kbs.co.kr)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