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지하 퇴출" 서울시, 공공임대 23만호 공급 추진
서울시가 반지하 가구를 순차적으로 없애기 위해 향후 20년간 노후 공공임대주택 재건축으로 공공임대주택 물량을 23만호 이상 확보하기로 했다. 반지하 거주 가구가 지상층으로 옮길 수 있도록 매달 20만원씩 월세를 보조하는 특정 바우처도 신설한다.
서울시는 “반지하 거주민들이 추가적인 부담 없이 고품질 임대주택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15일 밝혔다. 최근 발표한 반지하 주택 일몰제와 관련해 일각에서 실효성 논란과 함께 반지하가 없어질 경우 주거취약계층이 머물 곳이 사라진다고 지적하자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선 것이다.
서울시가 내놓은 반지하 대책은 재건축을 통한 공공임대주택 물량 확보다. 서울시에 따르면, 앞으로 20년 이내에 재건축 연한인 30년이 도래하는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258개 단지 약 11만8000호다. 재건축 과정에서 용적률을 상향하면 기존 가구 수의 2배 수준인 23만호 이상을 공공주택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보고 있다. 현재 서울 전체 가구의 5% 수준인 약 20만가구가 지하·반지하를 주거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 중인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재개발과 모아타운 등 정비사업에서도 앞으로는 상습 침수 또는 침수 우려 구역에 가점을 주는 방안과 침수 이력이 있는 반지하 주택 밀집지역의 우선 선정 등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신통기획 재개발과 모아타운 선정 등으로 반지하 주택 약 1만3000호를 정비구역에 포함시켰다며 추후 선정 구역을 고려하면 매년 8000호 이상의 반지하 주택이 정비대상에 포함돼 사라진다고 밝혔다. 상습 침수되는 지하·반지하 주택 밀집지역의 신속한 정비사업으로 취약계층을 지상층으로 이주시키는 주거환경 개선 및 공공임대주택 추가 확보 등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반지하 거주 가구가 지상층으로 옮길 수 있도록 각종 지원대책도 이뤄진다. 서울시는 반지하에 거주 중인 20만가구를 대상으로 지상층으로 이주할 경우 월세를 보조하는 ‘특정 바우처’를 새로 만든다. 오르는 임대료를 보조하는 개념으로, 월 20만원씩 최장 2년간 지급하는 것이다. 중위소득 46% 이하 저소득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지급되는 ‘주거급여’도 정부와 협조해 대상과 금액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주거상향을 원하지만 거주 중인 지역에 적절한 공공임대주택이 없는 경우를 위해 전·월세 보증금 일부를 공공이 지원하는 장기안심주택 및 기존 주택 전세임대 등의 지원한도액 상향 및 대상 확대도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와 함께 과거 지역의 침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침수흔적도를 활용해 침수위험도와 침수방지설비 설치요건 등 실제 현장 여건을 고려한 침수위험 등급을 설정하고 등급별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침수 방지시설 같은 단기적인 대책에 더해 노후 공공임대주택단지에 대한 신속한 재정비를 통해 반지하 거주 가구를 지상층으로 올리는 근본적인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글썽인 권성동 “인간이 해선 안 될 일이지만···‘비상계엄 특검법’ 당론 발의키로”
- 이준석, 윤석열 동기 죽음 언급하며 “본인도 강압수사 했지 않나”
- 고교 졸업식서 음주 추태…홍성표 아산시의회 의장 자진사퇴
- 조용한 한동훈, ‘1말2초’ 복귀?···윤석열 구속이 기점될 듯
- 김경진 전 의원 “윤 대통령 묵비권, 구속영장 발부에 유리하지 않아”
- 김용원, 동료 인권위원에게 “좌파 조직원이거나 하수인” 폭언···‘계엄 비호’도
- [뉴스토랑]고효율 끝판왕 ‘로테이션 소개팅’…10분씩 16명 만남
- “잘못 베낀 포고령” 윤석열 주장에···김용현 측 “착오 없는 정당한 포고령”
- [속보] 국회 측 “윤석열 매우 위험···복귀하면 어떤 일할지 예측 안돼”
- ‘윤석열 지연전략’에 복잡해진 수사 스케쥴···공수처는 ‘구속영장’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