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로 주택 등 1만건 피해..농작물 침수 '여의도 6배'

장병호 2022. 8. 15. 19: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8일부터 내린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1만건에 달하는 시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15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집계한 집중호우 피해 현황에 따르면 이번 호우로 피해를 입은 시설은 사유시설 9136건, 공공시설 1116건 등 총 1만 279건에 달한다.

도로 사면 122건, 역사·선로 11건, 철도 13건, 하천 제방 59건 등의 피해도 발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대본, 15일 오후 6시 기준 피해 현황 집계
인명 피해 사망 14명·실종 6명·부상 26명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지난 8일부터 내린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1만건에 달하는 시설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등 수도권과 영서 중북부에 호우특보가 내려진 지난 8일 우산을 쓴 시민들이 서울 광화문광장을 지나고 있다. (사진=방인권 기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15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집계한 집중호우 피해 현황에 따르면 이번 호우로 피해를 입은 시설은 사유시설 9136건, 공공시설 1116건 등 총 1만 279건에 달한다.

전국 주택·상가 침수는 8949건이며 이중 서울이 7955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인천 565건, 경기 203건, 충남 116건, 충북 51건, 전북 32건, 강원 16건, 세종 11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농작물 침수 피해 규모는 1754ha를 기록했다. 이 중에서 3분의 2에 달하는 1111ha가 충남 지역에서 발생했다. 충남 지역의 농작물 피해 규모는 여의도 면적(290ha) 3.8배에 달했다. 전국적으로는 여의도의 6배 규모다.

가축 폐사는 8만 1857마리로 충남(4만 8305마리)과 경기(3만 3302마리)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도로 사면 122건, 역사·선로 11건, 철도 13건, 하천 제방 59건 등의 피해도 발생했다.

산사태는 291건으로 경기 180건, 강원 72건, 충남 23건, 서울 14건, 충북 2건 등이다. 응급복구 1만 252건 가운데 87.2%가 완료됐다.

집중호우로 집을 떠나 대피한 사람은 7개 시도 56개 시군구에서 7749명을 기록했다. 주택 파손·침수 등의 피해를 본 이재민은 2280명으로 늘어났으며, 이들 중 1319명이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피해 우려로 일시 대피한 사람은 5469명이며 이 중 미귀가자는 3098명이다.

인명 피해는 사망 14명(서울 8명, 경기 4명, 강원 2명), 실종 6명(경기 2명, 강원 2명, 충남 2명)으로 전날과 동일하다. 부상자는 26명(서울 2명, 경기 23명, 충남 1명)이다. 전날 오전 1시 44분께 충남 부여군 은산면 나령리 인근에서 봉고 트럭이 물길에 휩쓸려 떠내려갔고 트럭에 타고 있던 2명이 실종됐다.

일반도로는 11곳이 통제됐다. 국도는 31호선 일부 구간(강원 인제 하추리∼합강리 11㎞ 구간)이 교통 통제 중이다. 둔치주차장 27곳, 하천변 11곳, 세월교 18곳, 3개 국립공원 6개 탐방로가 통제됐다.

현재 전국적으로 비는 소강상태지만, 늦은 오후 중부 지방부터 비가 시작돼 밤에는 전북·경북북부, 다음날 새벽에는 남부지방·제주로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집중호우 대처 및 피해수습 상황 점검 회의를 열어 인명피해 예방 대책 등을 논의했다. 중대본부장인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인명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기상 상황이 위험할 경우 선제적으로 주민대피를 실시해 피해가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