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채무자''20·30 전세대출 차주' 금리상승 땐 부실 '뇌관'

김태경 기자 2022. 8. 15. 16: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은 자료에 따르면 1분기 다중 채무자 비중 22.4%, 역대 최대
금감원 자료에선 20·30대 전세자금 대출 100조 원 육박

금리상승 시 부실 가능성이 가장 큰 ‘다중 채무자’ 비중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30대의 전세자금 대출이 100조 원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통상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전세자금 대출이 금리상승에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다중 채무자와 20·30 전세대출 차주 층이 금리상승 시 부실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셈이다.

한 은행의 대출 상담 창구 앞. 연합뉴스


15일 한국은행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에서 약 100만 명 패널의 신용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대출자 중 22.4%가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 채무자였다.

지난해 말 22.1%였던 다중 채무자 비중이 1분기 동안 0.3% 포인트 늘어난 것인데, 관련 집계 이후 비중이 가장 크다는 것이 한은의 설명이다. 아직 1분기 전체 가계대출 차주 수 추정 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지난해 말 기준 전체 차주 수(1989만4000명)에 대입해보면 445만6000여 명이 다중 채무자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가계대출이 감소세를 보이는 중에도 다중 채무자 비중이 커졌다는 것은 기존 대출 외에도 추가 대출을 할 수밖에 없는 한계 차주들이 늘어났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금융권별로는 저축은행의 경우 1분기 말 대출 차주의 69.0%가 다중 채무자로, 지난해 말보다 1.5% 포인트 늘었다. 은행권에서는 25.4%가 다중 채무자였는데, 이 역시 0.2%포인트 늘어났다.

연령별로는 40대(32.6%), 50대(28.0%), 30대 이하(26.8%), 60대 이상(12.6%) 순이었다. 눈 여겨 봐야 할 점은 30대 이하 차주가 지난해 연말보다 0.6% 포인트 늘었다는 것이다. 30대 이하 연령대의 다중 채무자 비중 증가폭이 가장 컸으며, 40대는 비중이 1.1%포인트 하락했다.

소득 수준별로 보면, 고소득자(소득 상위 30%)가 다중 채무자의 65.6%를 차지했고 중소득자(소득 30~70%)와 저소득자(소득 하위 30%)의 비중은 각 25.0%, 9.4%였다. 지난해 말보다 고소득자 비중은 0.3%포인트 줄어든 반면, 중소득자와 저소득자는 각각 0.2%포인트, 0.1%포인트 확대됐다.

종합해보면 제2금융권, 중·저소득층, 30대 이하 젊은 층의 다중 채무 비중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한은은 일반적으로 다중 채무자 중 저소득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 상태인 대출자를 ‘취약 차주’로 분류하는데, 최근 한은은 금융 안정 보고서에서 “앞으로 완화적 금융 여건이 정상화(금리 상승)되는 과정에서 대내외 여건까지 악화할 경우,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떨어지고 그동안 대출을 크게 늘린 청년층과 자영업자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신용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의원에게 제출한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20·30대의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96조3672억 원으로, 지난해말보다 2조1915억원(2.3%) 늘었다. 20·30대의 은행 전세대출 잔액은 2019년 말 54조7381조 원, 2020년 말 76조1787억 원, 2021년 94조1757억원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전체 전세대출 차주 중 20·30대 비중도 높아져 4월 말 현재 전체 차주의 61.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변동금리 대출을 선택하는 전세대출의 경우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도 더 커진다. 실제 전세대출의 지표금리가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6월 현재 2.38%(신규취급액 기준)로 1년 새 1.46%포인트 올랐다. 진 의원은 “전세자금대출 금리 폭등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로 금융취약계층의 주거환경이 악화할 수 있다”며 “실수요자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