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로시에 화난 中, 美의원단 대만방문에도 "강력한 무력시위 가능성" 압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에 이어 미국 의원들이 대만을 방문하기로 하자 중국 관영 매체가 '강력한 군사적 행동'을 거론하며 압박에 나섰다.
중국의 대(對)대만 선전용 관영 매체인 '해협의 소리'는 14일 군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가 미국 의원들의 대만 방문기간 대만 주변 해·공역에서 강력한 군사적 반격 행동을 조직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에 이어 미국 의원들이 대만을 방문하기로 하자 중국 관영 매체가 ‘강력한 군사적 행동’을 거론하며 압박에 나섰다.
중국의 대(對)대만 선전용 관영 매체인 ‘해협의 소리’는 14일 군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인민해방군 동부전구가 미국 의원들의 대만 방문기간 대만 주변 해·공역에서 강력한 군사적 반격 행동을 조직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민주당의 에드 마키 상원 의원을 포함한 미국 여야 상·하원 의원 5명은 14일 미군 C-40C 전용기편으로 대만에 도착했고, 15일 차이잉원 대만 총통 등 대만 주요 인사와 만난다.
중국은 지난 2~3일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은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되는 행보라며 거세게 반발해 대만을 포위하는 형태로 설정한 훈련 구역에서 10일까지 실사격 훈련을 포함한 고강도 ‘군사행동’을 전개했다. 이후로도 연일 사실상의 국경으로 기능하던 대만해협 중간선 너머로 군용기를 진입시켜 긴장 수위를 높이고 중간선을 무력화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계열 글로벌타임스는 중국이 이번에 대만을 찾은 미국 의원단에 대해 펠로시 의장에게 했던 것과 비슷한 보복 조치를 할 것이라는 전문가의 예상을 전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지난 5일 펠로시 의장과 그 직계 친족을 제재 대상자 명단에 올린다고 발표했지만, 구체적인 제재 내용은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젊은 두뇌가 뛴다]⑭ “다음 시장은 우주와 항공”...‘세계 1%’ 배터리 연구자가 전망한 미래
- "비회원제 골프장, 폭리 심해" 원성에… 정부 '특단 조치'
- “하루 4만원 벌어도 일할 수 있어 즐겁죠” 노인들 몰리는 실버 택배 동행해보니
- '대장암 고백' 전여옥 "좌파들이 나 암 걸렸다니 좋아해"
- “수영장은 기본, 밥도 줘야 고급”... 초고가 아파트 조식시장 ‘춘추전국시대’
- [르포] “BTS굿즈·MLB모자 사러 왔다” 훈풍 부는 면세점, 수익성은 ‘고심’
- 모두 故 김정주 창업자 최측근… 넥슨의 경영권, 향방은?
- 보행자 위협하는 전동킥보드 불법주차…범칙금 ‘2만원’에 단속도 미흡
- 해외 매출만 연간 356억… 해외로 날아가는 ‘K-치킨’
- ‘김남국 코인’ 충격에 엇갈린 與野 2030 지지율...文 부동산 실패 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