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첫 곡물수출선, 레바논에서 퇴짜맞고 시리아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와 함께 처음 출항했다가 레바논에서 하역을 거부당했던 선박이 시리아의 항구로 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라조니호는 지난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유엔·터키의 중재 속에 곡물 수출을 재개하기 위한 안전항로 확보에 합의한 후 지난 1일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오데사항을 출항했지만, 7일 레바논 트리폴리에서 운송 지연을 이유로 화물 인수를 거부당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재개와 함께 처음 출항했다가 레바논에서 하역을 거부당했던 선박이 시리아의 항구로 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14일(현지 시각) 우크라이나산(産) 옥수수를 실은 라조니호가 시리아 타르투스 항구에 접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라조니호는 지난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유엔·터키의 중재 속에 곡물 수출을 재개하기 위한 안전항로 확보에 합의한 후 지난 1일 처음으로 우크라이나 오데사항을 출항했지만, 7일 레바논 트리폴리에서 운송 지연을 이유로 화물 인수를 거부당했다. 이후에는 터키로 행선지를 바꿔 지난 11일 메르신 항구에 정박했다가 다시 시리아 서북부 해역으로 이동했다.
시리아는 친(親)러시아 성향이 강해 우크라이나 동부에서 친러 분리주의 세력이 독립을 선포한 도네츠크인민공화국(DPR)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LPR)을 독립국으로 인정했고, 이에 반발한 우크라이나가 지난 6월 단교를 선언했다.
라조니호가 어떤 경위로 시리아로 향하게 됐는지는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주 레바논 우크라이나 대사관도 라조니호의 최종 행선지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덧붙였다.
한편 유엔은 이날 곡물 수출 재개 후 처음으로 우크라이나산 밀을 실은 선박 소르모프스키호가 지난 12일 우크라이나 항구를 떠나 목적지인 터키 이스탄불의 항구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또 에티오피아에 지원할 우크라이나산 곡물 2만3000t을 실은 유엔의 전세 선박도 이날 우크라이나 항구에서 출항했다고 전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이재용·블랙핑크 타는 전용기, 30시간에 8억4400만원
- "엘리베이터 사용료 내라" 난관 맞닥뜨린 배달원의 정체
- "아침에 죽 먹으러 가요"… KFC가 中 입맛 저격한 비결
- 엔터株 고공행진…군입대‧사생활 리스크 덜한 ‘엔터 ETF’ 사볼까
- 활짝 열린 하늘길에… 여행 경비 아낄 카드사 혜택 '봇물'
- "가족 품으로…" 호국영령 이름 찾아준 新 유전자 분석
- “임원은 7만원, 대리는 3만원”...프랭크버거, 대표 회갑연 강제수금 논란
- [2차전지 대해부] 노다지로 떠오른 폐배터리 재활용
- 치솟는 구글 점유율에 흔들리는 네이버·카카오
- "우린 서울시 제물인가" 참고 참다 결국 폭발한 주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