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레이드형 vs 말렛형..퍼터 핵심은 무게 중심

조수영 2022. 8. 14. 18: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퍼터는 골프 클럽 가운데 가장 예민한 장비로 꼽힌다.

퍼터는 크게 헤드 모양에 따라 일자형인 블레이드형과 말발굽 모양인 말렛형으로 나뉜다.

최근 들어선 블레이드형과 말렛형을 막론하고 퍼터 헤드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퍼터 헤드의 크기보다 더 중요한 건 무게중심이라고 설명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프 & 사이언스
'무관의 제왕' 스코티 셰플러
퍼터 무게 중심 바꾼뒤 세계 1위

퍼터는 골프 클럽 가운데 가장 예민한 장비로 꼽힌다. 유리알 같은 그린에 공을 굴려 지름 108㎜ 구멍에 집어넣는 데 쓰는 클럽이어서다. 그러다 보니 ‘골프 황제’ 타이거 우즈(46·미국)도 그때그때 자신에게 맞는 퍼터를 찾기 위해 수시로 바꾼다.

퍼터는 크게 헤드 모양에 따라 일자형인 블레이드형과 말발굽 모양인 말렛형으로 나뉜다. 말렛형의 헤드가 블레이드형보다 훨씬 크다. 그 덕분에 공과 퍼터를 정렬하는 가이드선을 길게 그릴 수 있다. 헤드무게도 더 나가기 때문에 퍼팅할 때 손목을 덜 쓸 수 있다. 많은 골퍼가 “초보자는 말렛형이 좋다”고 말하는 이유다.

스코티 셰플러의 퍼터 헤드 밑면. GolfWRX 캡처

블레이드형은 헤드가 가벼운 만큼 민감하게 거리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게 강점이다. 그런 만큼 고수에게 적합한 퍼터로 불린다. 하지만 우즈가 말렛형과 블레이드형을 번갈아 쓰는 걸 보면 딱히 ‘하수=말렛형, 고수=블레이드형’이라고 하기도 모호하다.

최근 들어선 블레이드형과 말렛형을 막론하고 퍼터 헤드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래야 고객의 대다수인 중·하수 골퍼들이 더 쉽게 거리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전문가들은 퍼터 헤드의 크기보다 더 중요한 건 무게중심이라고 설명한다. 올 들어 세계랭킹 1위로 올라선 스코티 셰플러(26)가 그걸 보여줬다고 한다. 셰플러는 2019년 PGA 투어 데뷔 첫해 신인상을 차지한 뒤 지난해 4대 메이저 대회에서 세 차례 톱10에 이름을 올리며 꾸준한 활약을 펼쳤지만 올초까지만 해도 우승은 올리지 못한 ‘무관의 강자’였다. ‘한방의 변화’를 위해 그가 선택한 게 퍼터였다. 지난해 말 타이틀리스트의 스코티캐머런 스튜디오를 방문해 고민을 털어놨고, 스코티캐머런 스튜디오는 그가 사용하던 뉴포트2 모델 헤드에 몇 가지 변화를 줬다. 헤드 모서리를 좀 더 날렵하게 마무리했고 솔에 2개의 무게추를 더했다. 톱 라인에 있던 검은색 정렬선은 헤드 뒤쪽으로 옮겼다.

효과는 곧바로 드러났다. 셰플러는 새 퍼터를 들고 처음 출전한 피닉스오픈 3차 연장전에서 7m 버디퍼트를 넣으며 첫승을 올렸다. 이후 2승을 추가하며 세계랭킹 1위로 올라섰고 메이저대회인 마스터스 우승까지 따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