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PK서도 압승.. '확대명' 구도 속 흥행 저조

김나경 2022. 8. 14. 16:2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가 전국 순회 경선 2주차 첫날인 13일 부산·울산·경남 권리당원 투표에서도 압승을 거두면서 누적 득표율 74.59%(5만 6621표)로 대세론 굳히기에 들어갔다.

14일 민주당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울산·경남 권리당원 투표를 포함한 누적 득표율 74.59%로 '확대명 대세론'을 재확인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李, PK 포함 누적 득표율 74.59% '독주'
朴 20.7%, 姜 4.71%.. '확대명' 구도 여전
울산·경남 투표율 40% 밑돌아.. 흥행 저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13일 부산 동구 부산항컨벤션센터에서 8·28 전당대회 부산·울산·경남지역 권리당원 투표결과 압승을 거두자 손을 들어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22.08.13. 사진=뉴시스
강훈식(왼쪽부터), 박용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가 13일 오전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자 울산지역 합동연설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2.8.13/뉴스1
[파이낸셜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후보가 전국 순회 경선 2주차 첫날인 13일 부산·울산·경남 권리당원 투표에서도 압승을 거두면서 누적 득표율 74.59%(5만 6621표)로 대세론 굳히기에 들어갔다. 경쟁자인 박용진 후보는 누적 득표율 20.7%(1만 5712표), 강훈식 후보는 4.71%(3756표)로 각 2~3위를 차지했다.

이번 경선은 박용진·강훈식 후보 간 후보 단일화가 사실상 무산된 데다 이렇다 할 변수 없이 전체 투표율 저조 등 막판까지 흥행이 최대 난제로 떠오를 전망이다.

14일 민주당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지난 13일 부산·울산·경남 권리당원 투표를 포함한 누적 득표율 74.59%로 '확대명 대세론'을 재확인했다. 이 후보는 △울산 77.61%(4488표) △경남 75.53%(1만 342표) △부산 73.69%(8447표)로 모든 지역에서 70%대 득표율을 기록했다.

'반(反)이재명' 노선을 강화하고 있는 박 후보는 누적 득표율 20.06%로 이 후보와 약 25%p 격차를 유지했다. 강 후보는 △울산 3.99%(231표) △경남 4.41%(604표) △부산 4.38%(502표)를 각각 득표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개표 후 기자들과 만나 "언제나 예상보다 많은 분들이 적극 지지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이처럼 이 후보의 '독주'가 초반부터 이어지면서 반환점을 맞은 상황에서 전당대회 흥행은 저조하다.

울산과 경남은 투표율이 각각 39.63%, 39.99%로 40%를 밑돌았다. 그나마 부산에서 50.07%을 넘겼지만, 지난 제주 28.62%, 인천 41.26%에서도 투표율이 40%대를 넘지 못했었다. 박용진 후보와 강훈식 후보 간 단일화가 사실상 무산된 데다 '돌풍'을 일으킬 만한 큰 이슈 없이 '이재명' 대 '비이재명' 공방전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당 대표 선거 뿐 아니라 최고위원 선거도 5위권 내 4명이 '친이재명계'로 '이재명계 독식'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3일까지 최고위원 선거 누적 득표율을 보면 △정청래 28.44% △고민정 21.77% △박찬대 11.66% △장경태 10.93% △서영교 10.33%다. 이 중 고민정 후보를 제외하고는 모두 '친이재명계' 후보들이다. 반면 '비이재명계' 후보들은 △윤영찬 8.05% △고영인 4.81% △송갑석 4.01%로 각 6~8위에 머물렀다.

우상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 11일 기자와 간담회에서 전당대회의 흥행 저조에 대해 "재미있게 엎치락 뒤치락 하면 흥행은 되지만 (흥행이) 전대의 목표는 아니고 부수적인 효과"라며 "화제 거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리가 있고 저도 흥행이 되기를 바라지만, 남은 기간 지켜봐야 한다는 마음"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전당대회와 함께 당 내 최대 이슈로 떠오른 당헌 80조 개정과 관련, 16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준위) 초안이 공개될 예정이다.

당헌 80조는 검찰 기소 시 당 대표 등 당직자의 직무를 정지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비이재명계에서는 '이재명 후보 방탄용'이라고 반발하며 의원총회 소집을 요청한 상태다. 전준위는 당헌 개정과 관련 직무 정지의 조건을 '기소'에서 '하급심 유죄 선고'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16일 '현안 논의'를 위한 의총을 열 예정인데, 여기서 논의가 이뤄질 지, 전당대회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민주당 #전당대회 #박용진 #강훈식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