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군 영현 가는 길 멈춰세운 尹, 유골함 끈 직접 고쳐매줬다

최경운 기자 2022. 8. 14. 16: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77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선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이 열렸다. 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 묘소에 안장돼 있던 고(故) 김유신 지사 등 17위 선열들을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이장하기 위한 봉송 행사였다. 이 자리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참석했다. 봉송식은 국민의례와 영상 상영, 헌화 및 분향, 고(故) 한휘 지사에 대한 건국훈장 수여, 대통령 추모사, 추모 공연 순으로 진행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한국광복군 선열 합동 봉송식에서 의장대의 꼬인 끈을 풀어주고 있다. 2022.08.14. /대통령실

그런데 선열 17위 영현 봉송 중 마지막 영현이 현충관을 빠져나가는 순간, 윤 대통령이 영현을 봉송하는 의장병에게 다가갔다. 의장병이 안은 유해함을 싼 끈이 꼬여있었고, 윤 대통령은 이 끈을 직접 고쳐줬다. 현장에 참석한 한 정부 인사는 “의장병이 당황한 표정이었는데 윤 대통령이 끈을 제대로 고쳐줬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추모사에서 “무명의 희생과 헌신도 국가의 이름으로 끝까지 챙기고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오늘날 우리가 마음껏 누리고 있는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 갔던 영웅들을 우리 모두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봉송한 17위 선열들의 이름을 일일이 호명했다. 이들은 20대 나이에 중국 지역에서 일제에 항거하다 순국하거나 직계 후손이 없는 등 그동안 이름도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선열들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