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이르면 내달초 하반기공채 시작.."5년간 8만명 신규채용"

최준영 기자 2022. 8. 14. 13: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정기 채용을 유지 중인 삼성이 이르면 내달 초 2022년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한다.

삼성은 새 정부가 출범한 지난 5월 반도체와 바이오, 신성장 정보기술(IT) 등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8만 명을 직접 신규 채용하겠다는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의 회사 깃발이 바람에 펄럭이고 있다. 문화일보 자료사진

삼성전자 등 주요 계열사 참여

국내 4대 그룹 유일 정기 공채

이재용 부회장, 복권 발표 직후

"청년 일자리 창출" 직접 약속

채용 규모 일부 늘어날 가능성

4대 그룹 중 유일하게 신입사원 정기 채용을 유지 중인 삼성이 이르면 내달 초 2022년도 하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시작한다. 새 정부 들어 향후 5년간 8만 명을 직접 신규 채용하겠다는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한 만큼, 반도체·바이오 등 주요 사업을 중심으로 채용 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주요 계열사들은 하반기 3급(대졸) 신입사원 공채를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채용 공고는 다음 달 초부터 삼성 공식 홈페이지와 주요 채용사이트에 게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물산 등 대부분 계열사가 공채에 참여할 것으로 전해졌다.

필기시험인 직무적성검사(GSAT)는 이번에도 온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2020년 상반기 공채부터 온라인으로 필기시험을 치르고 있다. 삼성은 1957년 국내 최초로 신입사원 공채 제도를 도입했다. SK그룹이 지난해 하반기 공채를 끝으로 수시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국내 4대 그룹 중 삼성만 유일하게 공채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삼성은 새 정부가 출범한 지난 5월 반도체와 바이오, 신성장 정보기술(IT) 등 핵심사업을 중심으로 향후 5년간 8만 명을 직접 신규 채용하겠다는 대규모 고용 계획을 발표했다. 연평균 1만6000명 수준으로, 지난해 8월 발표한 ‘3년간 4만 명 직접 채용’ 계획보다 채용 규모가 커졌다. 특히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사업을 중심으로 인력 채용에 나서고 있다.

8·15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복권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최근 공개적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을 약속한 바 있다. 이 부회장은 지난 12일 복권 조치에 대해 "더욱 열심히 뛰어 기업인의 책무와 소임을 다하겠다"며 "지속적인 투자와 청년 일자리 창출로 경제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임직원은 지난해 말 기준 11만348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000명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였다. 삼성전자는 국내에서 임직원 수가 가장 많은 기업이다.

한편, 경력사원 채용은 수시로 이뤄지고 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삼성전자 DS부문은 지난달 말 채용공고를 내고 경기 화성·기흥·수원·평택, 충남 천안·온양 등 주요 반도체 사업장에서 근무할 경력사원을 모집하고 있다. 모집 직군은 반도체 회로설계와 제조·보안·시스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등 반도체 설계 및 소프트웨어 분야다. 이 외 삼성물산과 삼성엔지니어링, 삼성SDS, 삼성웰스토리 등 계열사들도 경력사원 채용을 진행 중이다.

최준영 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