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 'CVID 지지' 유엔총장에 "미국의 적대시정책 동조" 비난

박광연 기자 2022. 8. 14. 12: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왼쪽)과 오찬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강윤중 기자

북한 외무성이 14일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지지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향해 “자기 직분에 어울리지 않게 미국과 추종세력들의 대조선 적대시정책에 동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비난했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선경 북한 외무성 국제기구담당 부상은 담화에서 “조선반도 문제와 관련하여 공평성과 공정성이 심히 결여되고 유엔헌장에 명기된 직분상 의무에도 어긋나는 유엔사무총장의 발언에 대하여 깊은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이 문제삼은 구테흐스 총장의 발언은 이틀전 윤석열 대통령과 만남 당시 나왔다. 구테흐스 총장은 지난 1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윤 대통령과 오찬을 하며 “한반도 특히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에 대해 완전한 지지를 표명한다”고 말했다.

김 부상은 이에 대해 “유엔사무총장의 이번 발언이 우리에게는 결코 용납될수 없다”며 “그것이 국제사회의 공정한 립장을 대표하는 것으로 될수 없다는데 대하여 명백히 밝히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 부상은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떠드는 이른바 CVID가 우리에게 일방적 무장해제를 요구하는 주권침해 행위와 같으며 지금까지 우리가 이에 대하여 추호도 용납하지 않고 전면배격해왔다는데 대해서는 구떼헤스 사무총장도 모르지 않을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상은 그러면서 “다시한번 명백히 하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보유는 장장 70여년간 조선민족에게 형언할수 없는 불행과 고통을 강요한 미국의 대조선 적대시정책과 핵위협 공갈로부터 국가와 인민의 안전을 수호하고 자주적 발전을 담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김 부상은 “지나온 조미(북미)대결의 력사는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이며 세계의 유일무이한 핵범죄국인 미국이 불법무도한 대조선 적대시정책을 완전하고도 되돌릴수 없게 포기하지 않는한 조선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와 안정을 보장할수 없다는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부상은 “우리는 구떼헤스 사무총장이 조선반도 정세가 극도로 예민한 현시점에서 문제해결에 실지 도움이 되는 일을 하지 못할망정 붙는 불에 기름을 끼얹는것과 같은 위험한 언행을 삼가할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번 담화에 대해 “국제기구의 대표격인 유엔 사무총장이 미국의 북핵 정책을 답습하고 있는 데 대한 경고 메시지”라며 “7차 핵실험을 앞두고 유엔이 공정하고 중립적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사전경고적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박광연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