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만원 운동화, 4억원 스포츠카' 불티..경기 안 타는 명품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음식료품이나 휘발유, 항공료 등이 가파르게 치솟는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주머니를 닫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도 150만원을 호가하는 스니커즈 신발이나 4억원에 육박하는 스포츠카는 여전히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인 CNBC에 따르면 최근 주요 소매업체들의 실적 부진과 향후 실적 전망 악화, 재고 증가 경고가 줄을 잇는 와중에도 고소득층을 주로 고객층으로 삼고 있는 페라리와 디올, 루이비통, 베르사체 등 럭셔리 브랜드를 가진 기업들은 양호한 실적을 내놓고 향후 이익 전망치까지 상향 조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명품 스포츠카 페라리, 역대 최대 매출에 연간전망도 상향
루이비통·베르사체·지미추 등 명품업체 실적도 줄줄이 호조
"과거 경기침체에도 명품만은 안정적..소득 양극화도 한몫"
[이데일리 이정훈 기자] 음식료품이나 휘발유, 항공료 등이 가파르게 치솟는 인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주머니를 닫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도 150만원을 호가하는 스니커즈 신발이나 4억원에 육박하는 스포츠카는 여전히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미국 경제매체인 CNBC에 따르면 최근 주요 소매업체들의 실적 부진과 향후 실적 전망 악화, 재고 증가 경고가 줄을 잇는 와중에도 고소득층을 주로 고객층으로 삼고 있는 페라리와 디올, 루이비통, 베르사체 등 럭셔리 브랜드를 가진 기업들은 양호한 실적을 내놓고 향후 이익 전망치까지 상향 조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 1230달러를 넘는 루이비통 스니커즈와 2370달러 이상되는 루이비통 백은 여전히 잘 팔리고 있다. 루이비통과 크리스찬 디올, 펜디, 지방시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LVMH는 올 상반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21%나 늘어난 367억유로에 이르렀다.
셔츠나 신발 하나가 1000달러를 쉽게 넘어가는 베르사체 역시 2분기 매출이 2억75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0%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마이클 코어스와 지미추 등의 브랜드를 가진 캐프리홀딩스도 2분기에 15% 늘어난 13억6000만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이탈리아 슈퍼카 브랜드인 페라리도 2분기에 12억9000만유로라는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한 뒤 올 한 해 실적 전망치를 오히려 높여 잡았다. 대당 32만달러를 넘는 하이브리드 차인 ‘페라리296GTB’나 심지어 60만달러나 되는 ‘페라리 812GTS’ 등의 판매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과거 경기 침체기를 봐도 소비경기가 악화되는 과정에서도 럭셔리 제품분야에서의 소비 둔화는 가장 더디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밀튼 페드라자 럭셔리인스티튜트 설립자이자 최고경영자(CEO)는 경기 침체 중에도 (개인용) 제트기 판매가 호조를 보인이는 것을 언급하며 “초고소득층 사람들은 (경기 침체 여부와 무관하게) 권력의 상징으로서 이런 럭셔리 제품을 보유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고 말했다.
해당 기업들도 이 같은 경향성을 잘 이해하고 있다.
존 아이돌 캐프리홀딩스 CEO는 “광범위한 경기 불확실성이 확산하고 있지만, 과거 경기 침체기에도 럭셔리산업은 상대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만큼 이번에도 우리는 장기적인 실적 전망을 달성하는 데 자신이 있다”고 낙관했다. 이어 “누구도 하반기에 소비경기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 지 장담할 순 없지만, 적어도 명품산업만은 상당히 견실할 것”이라고도 했다.
부유층 소비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애질리티 리서치앤스트래티지에 따르면 럭셔리 브랜드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이들 업체들도 “고객들의 80% 정도가 (경기 우려로 인해) 소비지출을 줄이려 한다”고 답했지만, 실제 이런 80%의 고객이 럭셔리 브랜드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불과하다고 답했다. 경기를 타지 않는 나머지 최고소득층 20%가 매출의 70%를 차지한다는 뜻이다.
암리타 반타 애질리티 대표는 “명품산업은 그 자체로 어느 정도 회복력을 가지고 있지만, 팬데믹으로 인해 부의 불균형이 더 심화되면서 이 같은 소비 양극화가 더 극심해지고 있다”며 “최고소득층의 가처분소득이 팬데믹 이후 더 늘어남으로써 이런 럭셔리 제품 소비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정훈 (futur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죄송한 마음"…빛 바랜 尹대통령의 첫 대국민사과
- 이은해, 보험료만 月140만원…이유 묻자 "딸 때문에"
- 정유라, 이준석에 "배신자…울고싶은 건 22살 미혼모였던 나"
- 우상호 "이준석에 이XX?…尹, 참으로 배은망덕한 대통령"
- 45%가 노령견…장수하려면 ‘이것’ 막아라[김하국의 펫썰]
- 음주운전 처벌 받고도 3일만에 무면허 운전 30대에 징역형
- '8월14일' 여성운동가 김학순, 日위안부 만행 첫 증언[그해 오늘]
- 고속도로 통행료 130여회 미납 운전자에 벌금형
- '현실판 탑건' 찍은 펠로시에 日 어부지리 왜[김보겸의 일본in]
- 30년 투병으로 전한 희망…세계울린 '팝의 여왕'의 죽음 [주말POP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