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제주문화] (41)"제주성 일제에 헐렸다"..3.2km 성곽 이제 195m뿐
"조선왕조 국체의 해체이자 제주 역사·문화 정체성 상실"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지금으로부터 10년 전인 2012년 8월 28일 제주성(濟州城)에 오래된 건물터가 발굴됐다.
제주고고학연구소가 제주성 동쪽 치성(雉城, 성 바깥으로 네모나게 돌출시켜 쌓은 성곽) 상부에서 문화재 시굴·발굴 조사 과정에 '凸'자형 기단석렬과 초석 6기를 확인한 것이다.
이 건물터는 고증을 거쳐 김상헌의 '남사록'(1601년)과 이원조의 '탐라지초본'(1841년) 등에 기록된 제이각(制夷閣)이라는 결론이 나왔다.
제이각은 외적의 침략을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제주성 동쪽 성곽 위에 세운 누각이다.
지형이 가파르고 험한 낭떠러지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제이각에서 장수가 제주성을 내려다보면 성안은 물론 주변의 언덕과 하천, 해안까지 한눈에 조망할 수 있어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했다.
임진왜란 직후인 1599년(선조 32년) 제주 목사로 부임한 성윤문(成允文)이 제주성을 보강하는 과정에서 건립했다.
건물터가 발견된 지 3년여만인 지난 2015년 12월 복원됐지만, 이것이 1990년대부터 이어진 제주성 성곽 복원의 마지막 사업이었다.
과거 오랜 시간 증축과 개축이 이뤄진 제주성은 그 둘레가 3.2㎞에 달했다.
현재 문화재로 지정돼 복원된 부분은 원형의 10%에도 못 미치는 195m에 불과하다.
제주성은 왜 우리 곁에 온전히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일제강점기 경제적 수탈과 민족 말살 정책이라는 일관된 식민정책 탓이다.
제주성이 처음 축조된 시기는 기록상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조선 태종실록(태종 8·11년, 1408·1411년)과 동국여지승람(성종 12년·1481)의 기록을 토대로 탐라국(耽羅國)시대에 축성돼 그 명맥을 이어왔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제주의 젖줄 산지천 일대 정치·사회·경제·문화의 중심지인 조선시대 제주목(濟州牧) 관아와 민가를 보호하는 읍성으로서 기능을 했다.
제주성은 3문(동문·서문·남문), 2수구문(남수구·북수구), 간성 2문(소민문·중인문)을 축으로 제주 중심부를 에워싸며 연결됐다.
애초 탐라국 시대 제주성에는 3문만 있었으나 선인들은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마을을 더 안전하게 보호하고, 마실 물인 산지천을 성안으로 들이기 위해 성곽의 둘레와 규모를 확장했다.
이때 남북으로 흐르는 산지천을 사이에 두고 서안과 동안을 연결하는 수구문이 새로 축조됐고 이어 산지천 범람으로 인한 홍수 예방을 위해 간성 2문이 만들어졌다.
제주성 초기 1㎞ 남짓하던 규모는 증·개축을 거듭해 3.2㎞까지 늘어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웅장한 규모를 자랑하던 제주성은 일본에 나라를 빼앗긴 뒤 식민정책의 일환으로 속절없이 헐려 나갔다.
제주성이 일제에 의해 파괴되는 과정은 김석익의 탐라기년(耽羅紀年)에 기록됐다.
이를 간략히 정리하면 1910년대 연상루와 정원루·진서루 등 제주성 문루(門樓)가 차례로 훼철됐다. 제주성에는 성 안팎을 연결하는 통로인 성문이 여럿 있는데, 이 성문 위에 설치된 누각을 문루라고 한다. 감시초소 기능뿐만 아니라 유사시 장수의 지휘소 역할을 하기도 했다.
문루가 파괴된 데 이어 1923년 동성 위에 제주측후소가 개설됐고, 1926년 본격적으로 제주성이 해체됐다.
일제는 침탈 물자 등을 실어나르기 위한 연락선과 군함 등이 오가는 데 필요한 항구를 조성하는 제주항 축항공사를 진행했는데, 공사를 위해 제주성을 헐어 바다를 매립하는 골재로 사용했던 것이다.
성곽 대부분이 헐려 사라졌고, 현재 제주지방기상청 후문 계단, 오현단 등에 그 잔해의 일부가 남아 있을 뿐이다.
탐라국 이후 오랜 기간 제주 백성을 보호하고 지켜주던 든든한 상징물을 헐어버린다는 것은 백성들에게 나라를 완전히 잃어버렸다는 상실감과 허탈감을 심어주기 충분했다.
현재 제주성 일부가 복원돼 '제주성지'(濟州城址)란 이름으로 제주도 기념물 제3호로 지정돼 있다.
'성지'(城址)란 한자 말은 그 뜻을 풀이하면 '성이 있던 자리', '성터'란 의미다.
제주성은 사라지고 그 터만 남아 제주성지란 이름의 기념물로 등록돼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게 만든다.
박경훈 전 제주문화예술재단 이사장은 자신의 저서 '제주담론'에서 "일제의 침탈로 말미암은 참상은 대한민국 국토 어디에나 흔적을 남기고 있지만, 제주도의 경우 가장 가시적인 경관의 변화를 초래한 것은 제주성의 해체였다"며 "제주성의 해체는 곧 가장 완강했던 조선왕조 국체의 해체였으며, 주체적인 국가·지역공동체에 대한 물리적 침탈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탐라고성을 포함한다면 1천 년 이상, 조선 왕조만 해도 500년 이상을 제주목의 주도적인 경관으로 지속해 온 제주도 역사·문화의 상징인 제주성이 일제의 식민지 지배를 위한 산지항 개발 과정에서 사라진 것은 이후 구도심 역사·문화 정체성을 상실하게 하는 가장 큰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 이 기사는 '박경훈의 제주담론'(박경훈 저), '제주읍성의 변천에 대한 역사고고학적 연구'(변성훈 저) 등 책자와 논문을 참고해 제주성의 역사를 소개한 것입니다.]
bjc@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핵펀치' 잃은 58세 타이슨, 31세 연하 복서에게 판정패 | 연합뉴스
- 李, '징역형 집유' 선고 이튿날 집회서 "이재명은 죽지 않는다" | 연합뉴스
- '오징어게임' 경비병으로 변신한 피겨 선수, 그랑프리 쇼트 2위 | 연합뉴스
- 학창 시절 후배 다치게 한 장난…성인 되어 형사처벌 부메랑 | 연합뉴스
- 주행기어 상태서 하차하던 60대, 차 문에 끼여 숨져 | 연합뉴스
- 아내와 다툰 이웃 반찬가게 사장 찾아가 흉기로 살해 시도 | 연합뉴스
- 페루서 독거미 320마리 밀반출하려다 20대 한국인 체포돼 | 연합뉴스
- 성폭력 재판 와중에 또 악질 성범죄…변명 일관한 20대 중형 | 연합뉴스
- 의문의 진동소리…옛날 가방 속 휴대폰 공기계 적발된 수험생 | 연합뉴스
- 김준수 협박 금품 갈취한 아프리카TV 여성 BJ 구속 송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