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장관·보훈처장, 탈북 국군포로 이규일씨 조문(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탈북 국군포로 이규일 씨를 13일 조문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유족들을 만나 애도와 감사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도 탈북 국군포로들의 공적에 합당한 예우와 처우를 다 해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된 뒤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북한에서 살다가 2008년 5월에야 탈북에 성공했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후 지금까지 국군포로 80명이 귀환했고 현재 14명이 생존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이종섭 국방부 장관이 탈북 국군포로 이규일 씨를 13일 조문했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 장관은 유족들을 만나 애도와 감사의 뜻을 표하고, 앞으로도 탈북 국군포로들의 공적에 합당한 예우와 처우를 다 해나갈 것임을 약속했다.
박민식 국가보훈처장도 이날 국군수도병원에 마련된 고인의 빈소를 방문해 윤 대통령의 조화와 애도 메시지를 유가족에게 전달했다.
박 처장은 "윤 대통령께서 국군귀환 용사들에 대해 각별하셨고,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이규일 용사를 취임식에 초청하셨다"며 "대통령께서 참으로 각별하고 애틋한 위로의 말씀을 주셨다"고 전했다.
고인은 1950년 12월 17세 나이로 국군에 자원입대해 1951년 2월 강원도 횡성에서 3사단 소속으로 전투 중 중공군에 포로로 붙잡혔다.
1953년 7월 정전협정이 체결된 뒤에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채 북한에서 살다가 2008년 5월에야 탈북에 성공했다.
고인은 북한에 억류된 국군포로 송환과 국내 탈북 국군포로의 처우 개선 등에 관해 활동하며 2020년 9월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상대로 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주도했다. 지난 2월에는 방한한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과 면담했다.
또 지난 5월 윤 대통령 취임 당시 탈북 국군포로 중 처음으로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식에 초청받아 참석했다.
지난 8일 향년 89세를 일기로 별세했고, 발인은 14일 오전이며 유해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된다.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후 지금까지 국군포로 80명이 귀환했고 현재 14명이 생존해 있다.
jk@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등교하던 여중생 둔기로 살해하려 한 고교생 2심서 형량 늘어 | 연합뉴스
- 장난감자석 33개 삼킨 23개월생…건양대병원 긴급수술, 건강회복 | 연합뉴스
- [팩트체크] "세계 6위 강대국 한국"…진짜인가 허상인가 | 연합뉴스
- 거제서 군인 포함 20대 3명, 식당 개에 비비탄 난사…1마리 숨져 | 연합뉴스
- 차량 화재에 소화기들고 달려간 인근 카페직원들…"영웅 같았다" | 연합뉴스
- "한국 백만장자 130만명 돌파…세계 10위" | 연합뉴스
- "월급 반씩…" 군대 대리 입영한 20대에 2심도 실형 구형 | 연합뉴스
- '훈련병 얼차려 사망' 지휘관 형량가중…"후진적 병영문화 답습"(종합) | 연합뉴스
- 오피스텔서 추락한 웰시코기 "학대 흔적 없어"…내사종결 예정 | 연합뉴스
- 선관위의 섣부른 사전투표 '자작극' 발표…소송으로 이어질까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