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습 폭우..행동 요령은?

임소정 2022. 8. 13. 16: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시뉴스] ◀ 앵커 ▶

아직은 일부 중부지방에 한해서 호우주의보가 내려져 있기는 합니다.

그래도 경계를 늦출 수가 없는 건 이유가 있는데요.

지난 월요일부터 나흘 연속 쏟아진 폭우 때문에 지반도 약해져 있고, 또 배수시설도 채 복구되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다시 한번 폭우가 쏟아질 경우 피해는 더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이럴 때 어떻게 대처해야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지 임소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 리포트 ▶

순식간에 쏟아진 폭우에 강처럼 변해버린 왕복 8차로.

대형버스와 차량들이 오도가도 못한 채 고립됐습니다.

어쩔 수 없이 차를 몰고 나갔다가 폭우가 시작됐다면, 타이어 높이의 2/3가 되기 전에 차량 밖으로 나와야합니다.

차 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미리 창문을 열어두는 것도 방법, 이미 침수가 시작됐다면 창문 모서리 쪽을 부수고 나가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김학수/국립재난안전연구원] "의자 목 받침대를 빼내면 끝이 뾰족한 철제 막대가 있습니다. 이 부분을 이용해 유리창의 가장자리 부분을 강하게 치면 유리창을 깰 수 있습니다."

이마저도 어려운 상황에는 내부 물 높이와 외부 물 높이가 30cm 이내로 좁혀질 때까지 기다리면 오히려 문을 쉽게 열 수 있습니다.

차를 가지고 나가지 않은 경우, 거리에서 가장 조심해야하는 건 바로 맨홀입니다.

[백선아] "갑자기 가슴 밑에까지 빠져가지고 너무 놀라서 바로 올라오긴 했거든요. 사람이 이렇게 죽는구나 싶었어요."

얼마 전에도 여러 시민의 목숨을 앗아간 맨홀은 무게가 40kg 정도로, 역류할 경우 위협적입니다.

특히 뚜껑이 열린 것을 못 보고 빠질 우려가 있어, 도로를 걸을 때는 건물이나 담벼락을 따라 걷는 것이 안전합니다.

신호등이나 가로등, 전봇대 등 감전 위험이 있는 시설물엔 가까이 가지 말아야합니다.

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심하게 기울어 있거나 모래나 자갈이 굴러 내려온다면 산사태 징후로 판단하고, 대피해야합니다.

MBC뉴스 임소정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임소정 기자 (with@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1700/article/6397918_35729.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