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A "북한 주민 19%만 휴대전화 사용..간부들이 독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북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원이 전체 인구의 19% 정도이며 주로 고위 간부와 외교관들이 독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13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한 'CIA 월드 팩트북' 내용에 따르면 북한 내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 수는 작년 기준 북한 전체 인구의 19%가량으로 집계됐다.
CIA가 올해 북한의 전체 인구를 2595만5000여명 수준으로 추산하는 것을 감안하면, 휴대전화 사용자는 약 490만명에 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미국 중앙정보국(CIA)은 북한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인원이 전체 인구의 19% 정도이며 주로 고위 간부와 외교관들이 독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13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한 'CIA 월드 팩트북' 내용에 따르면 북한 내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 수는 작년 기준 북한 전체 인구의 19%가량으로 집계됐다. CIA가 올해 북한의 전체 인구를 2595만5000여명 수준으로 추산하는 것을 감안하면, 휴대전화 사용자는 약 490만명에 달한다.
CIA는 북한에서 휴대전화를 보유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고 당국의 검열이 엄격해 고위 관리들과 외교관이 휴대전화 사용을 독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이 국제사회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기로 결정하면서 대내외적으로 통신 부문에 더 강력한 통제를 할 수밖에 없다"라고 분석했다.
아울러 중국과 가까운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 주민들의 경우 휴대전화와 유심(USIM)칩을 구해 불법적으로 중국 기지국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서비스보다 더 낮은 가격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할 수 있지만 적발될 경우 상당한 벌금이나 징역형에 처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CIA는 북한의 고립주의와 저조한 경제 실적이 몇 년간 이어지면서 북한의 '세계 통신 서비스 지수'가 아프가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과 함께 전 세계 최하위권을 기록했다고 진단했다.
CIA는 북한의 유선 통신망에 대해선 "제대로 작동하는 통신망을 구축하는 데 제약이 많아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분석했다. 북한은 1990년대 전국에 광섬유망을 깔았지만, 이 망은 개별 가정엔 거의 보급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남편 해외 근무 중 내연남 아이 출산한 아내…호적에 몰래 등재 '충격'
- 치매 노인이 20만 원어치 계산 '깜빡'…합의금 2천만원 요구한 마트
- 출장 중 베트남 학생 폭행한 한국인 여성, 회사서 잘렸다…"퇴사 조치"
- "6세 어린 여직원과 몰래 카풀한 남편…그만두라 했더니 '걔는 어떡해'"
- "나라 명예 실추"…외국인과 하룻밤 보낸 여대생 퇴학시킨 대학, 어디야?
- "빨간색 입었어?"…애 넷 돌싱 외국인과 불륜한 남편, 퇴근 뒤 모텔로
- "유명 SNS 모델과 바람피운 7년 사귄 남친…눈감고 결혼하고 싶은데"
- 최강희, 49㎏ 다이어트 성공…양치승 폐업에 "더 속상해"
- 신지, 김종민 결혼식서 울컥…"큰오빠 장가보내는 느낌" [RE:TV]
- "남초 회사 남편 파타야 출장, 여직원은 제외…성매매 코스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