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코로나 방역전 승리' 선언 후..北, 마스크 의무 해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남쪽 전방지역과 북쪽 중국과의 국경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고, 각종 시설 운영을 정상화했다.
이어 "나라의 모든 지역들이 방역안전지대로 확고히 전환되고 국가적인 방역등급이 하향 조정된 데 맞게 전연(전방)과 국경지역의 시·군들을 제외한 모든 지역들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가 해제됐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측 접경지역과 중국 등과 국경지역은 예외
북한이 남쪽 전방지역과 북쪽 중국과의 국경지역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하고, 각종 시설 운영을 정상화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0일 “신형 코로나 비루스(바이러스)를 박멸하고 인민들의 생명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최대비상방역전에서 승리를 쟁취했다”고 선언한 뒤 일상회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13일 “국가비상방역사령부에서는 최대비상방역체계가 해제된 데 따라 이미 시달했던 명령과 특별지시 등의 효력을 없애고 주민들의 사업 및 생산활동, 생활을 정상수준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대책들을 강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나라의 모든 지역들이 방역안전지대로 확고히 전환되고 국가적인 방역등급이 하향 조정된 데 맞게 전연(전방)과 국경지역의 시·군들을 제외한 모든 지역들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가 해제됐다”고 전했다.
또 “국가적인 답사와 참관, 휴양과 요양, 관광 등이 정상화되고 전연·국경지역의 시·군을 제외한 모든 지역들에서 방역학적 거리두기, 상업, 급양 및 편의봉사 시설들의 운영시간 제한조치 등이 해제됐다”고 했다.
북한은 지난 5월 12일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공개했다. 코로나 확산 후 남측의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슷한 조치를 했는데, 이를 해제하며 경제활동을 정상화한 것이다. 지난달 30일에는 코로나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유열자’(발열자)가 ‘0명’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남측에서 탈북민 단체가 날려보낸 대북전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남측 접경지역과 중국 등과의 국경지역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나 거리두기·시설 운영시간 제한조치 등을 없애지 않고 방역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남측에서 살포된 대북전단과 물품을 뜻하는 ‘색다른 물건’에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도 했다. 통신은 “사람들 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만과 방심, 무경각성을 철저히 극복하며 특히 우리 경내에 악성비루스(코로나19 바이러스)가 유입되게 되었던 교훈을 언제나 자각하면서, 주위에서 발견되는 색다른 물건이나 이상 징후를 각성 있게 대하도록 하기 위한 선전교양사업이 중단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그밖에 수입물자 취급장소 등 ‘방역학적 위험성이 내재된 지역과 장소’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화와 소독 등 방역조치를 유지하도록 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10일 김정은이 참석한 가운데 평양에서 전국비상방역총화회의를 열어 코로나19 위기 해소를 선언하고 ‘최대비상방역체계’를 91일 만에 ‘정상방역체계’로 완화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변이와 원숭이두창 확산 등 여러 전염병 발생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방역에 긴장을 풀어선 안 된다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재건축은 '미소', 리모델링은 '한숨'… 희비 엇갈린 이유
- 삼성·하이닉스, '반도체 혹한기' 탈출할 비법 찾았다
- [점프업 스타트업]⑨ 이승민 블루레오 대표 “장애인 95% 구강질환 고통… 진동흡입칫솔로 양치
- [농수산 수출시대]④ K-푸드에 ‘농기계·스마트팜’ 수출도 날개 달았다…‘원팀’으로 해외 진
- 송중기♥케이티→'쌍둥이맘' 공현주까지…검은 토끼띠 자녀 얻을 스타들[PICK★]
- ‘페이왕국’ 대한민국… 간편결제 서비스, 미국·중국·일본보다 많아
- 같은 아파트 단지라도 멀면 배달료 더 낸다... 배민 ‘거리별 배달료’ 도입에 자영업자·소비자
- “재룟값·공공요금 오르고 후원 끊겨”… 시름 깊어지는 무료급식소
- 이러다 '대참사'… 제2의 코로나 될까 무서운 바이러스
- 포스코·롯데의 미얀마호텔, 실적 개선에도 여전히 불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