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반지하도 사람 사는 곳 없애면 어디로 가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시가 최근 중부지방 폭우에 따른 수해 대책으로 주거목적 용도의 지하·반지하 건축물을 불허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이 이견을 드러냈다.
원 장관은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반지하도 사람이 사는 곳"이라며 "반지하를 없애면 그 분들은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밝혔다.
원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서울시가 밝힌 지하·반지하의 '주거 목적 용도'를 전면 불허 방침과 온도차가 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동네·달동네 없앤 과거 되풀이 안 돼"
서울시가 최근 중부지방 폭우에 따른 수해 대책으로 주거목적 용도의 지하·반지하 건축물을 불허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이 이견을 드러냈다.
원 장관은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반지하도 사람이 사는 곳"이라며 "반지하를 없애면 그 분들은 어디로 가야 하느냐"고 밝혔다. 원 장관은 "(반지하 거주민들이) 현재 생활을 유지하며 이만큼 저렴한 집을 구하기 쉽지 않다"며 "산동네, 달동네를 없애는 바람에 많은 분들이 반지하로 이사를 갈 수밖에 없었던 과거를 되풀이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가장 중요한 것은 반지하 거주민들의 안전을 보장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현실적 대책"이라며 "당장 필요한 개보수 지원은 하되, 자가·전세·월세 등 처한 환경이 다르기에 집주인을 비롯해 민간이 정부와 함께 움직일 수 있는 실효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원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서울시가 밝힌 지하·반지하의 '주거 목적 용도'를 전면 불허 방침과 온도차가 크다. 서울시는 중부지방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서울시내 반지하 가구에서 빠져 나오지 못한 거주민이 사망하는 사고가 연달아 발생하자, 이틀 전 이 같은 방침을 내놓은 바 있다.
원 장관은 "근본적으로 주거 이전을 희망하는 분들이 부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주택들이 시장에 많이 나올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형준 기자 mediaboy@hankookilbo.com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태풍'메아리' 나비효과…주말 또 120㎜ 물폭탄 쏟아진다
- 폭우 때 급류 휩쓸려 사망했는데 ‘수해 피해자’ 아니다?
- '1200원대 휘발유' 출혈 경쟁…주유소 사장님들 왜 그랬을까
- 윤 대통령 아파트가 침수 피해?... '허위 영상'에 뿔난 입주민들
- 서장훈, 보유 빌딩 450억 대 됐다…부동산만 700억
- 윤 대통령, '정치인 사면' 접었다... 낮은 지지율·부정 여론 의식
- 김혜수가 '반지하 가족 사망' 뉴스 접한 뒤 한 일
- 9년간 세 번 수사... 성접대·성폭력·뇌물, 모든 혐의 벗은 김학의
- 문재인 전 대통령, 평산마을 '퇴임 100일 행사' 거절... 왜?
- 윤석열 대통령은 왜 폭우를 뚫고 퇴근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