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카메라] 무릎만 차올라도..'반지하 침수' 대처 어떻게?

이희령 기자 입력 2022. 8. 12. 20:50 수정 2022. 8. 12. 22: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번 폭우로 반지하 주택에서 침수 피해가 특히 컸죠.

문 밖에 빗물이 차고 계단으로 쏟아지면 대피하기가 얼마나 어려워지는지, 또 이럴 때는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밀착카메라 이희령 기자가 실험으로 직접 보여드리겠습니다.

[기자]

이곳은 침수출입문 개방체험장입니다.

안쪽으로 들어와 보면 모형 현관문이 설치가 돼 있는데요.

이 문 밖에 빗물이 차오를 때, 차오른 빗물의 높이에 따라 대피 어려움이 얼마나 커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30cm까지 차오른 물, 힘껏 문을 여니 조금씩 열립니다.

[{하나, 둘, 셋!} 열리긴 하네요. 이것도 잘 열리진 않는데요?]

이번엔 40cm, 정강이 높이까지 찼습니다.

온 힘을 다해 밀어 보지만,

[{쭉 미세요.} 밀고 있어요.]

물이 새어 나올 뿐 꿈쩍도 하지 않습니다.

[안 열리는데. 안 열려요.]

무릎 높이가 되자 성인 남성도 쉽게 열지 못합니다.

[아예 안 열립니다. {안 돼요?} 네.]

물이 빠르게 차오르면 나가기 어려운 만큼 조금이라도 유입될 때 탈출하는 게 좋습니다.

[김학수/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설연구관 : (문이 열리지 않을 땐) 우선 119에 구조 요청을 하시고, 도구를 이용해서 방범창을 뜯어내는 등 대피로를 확보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빗물이 계단을 통해 쏟아져 내릴 땐 어떨까.

물이 발목 정도 높이일 땐 문제가 없습니다.

무릎 높이로 수위가 올라가자 한 걸음 내딛기조차 힘들어집니다.

[발이 뒤로 밀려요.]

난간이 없다고 가정하고 올라가 봤습니다.

몸이 뒤로 밀려나 걸을 수 없습니다.

[{안 될 것 같아요?} 네네.]

[김학수/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설연구관 : (빗물 유입량을 줄이려면) 출입문 방지턱을 설치하거나 차수판을 설치하고, 지하 계단의 경우엔 난간을 설치해주면 대피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반지하 주택에 사는 박주선 씨도 이번 폭우 때 빠르게 차오르는 물에 놀랐습니다.

[박주선/서울 신길동 : 한 이 정도에서 시작했던 것 같은데 허벅지까지는 찼던 것 같습니다. 물이 차오르는 게 느껴질 정도로 빨리 찼으니까.]

대처 방법을 몰라 더 막막했습니다.

[박주선/서울 신길동 : 두꺼비집 내려야 하고, 이런 매뉴얼(대피 요령) 같은 게 교육이 됐으면 참 좋았겠다. 집에 들어왔을 때도 뭘 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일부 지자체에선 침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물막이판'을 설치해주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리를 이용해 금방 떼어내고 다시 고정할 수 있습니다.

[박성범/서울 중랑구청 치수과 : 적은 양의 비에 충분히 대비가 가능하고 큰비가 있을 때도 단시간에 역류가 생기는 부분을 방지하는, 시간을 벌어주는 역할이 분명히 있기 때문에.]

주민들이 바라는 건 결국 더 나은 주거 환경입니다.

[최용/반지하 주택 주민 : 공공임대주택 같은 거, 그런 지원을 좀 해줬으면 좋겠네요.]

[반지하 주택 주민 : 우리 수급자들은 이런 데 안 살게 옮겨줬으면 좋겠어. 진짜로 너무 힘들어요. 사는 게 사는 것이 아니야.]

집에 있어야 할 물건들이 모두 젖어 이렇게 골목길 하나를 가득 채웠습니다.

비가 내리는 걸 막을 순 없어도, 적극적인 조치로 같은 피해가 반복되는 건 멈춰야 하지 않을까요.

밀착카메라 이희령입니다.

(VJ : 김대현 / 영상그래픽 : 박경민 / 인턴기자 : 성기원)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