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 2분기 영업익 2113억원.. "화물 사업·국제선 확대 덕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이 올해 2분기 별도 기준 211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작년 2분기 대비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 화물 사업의 호조가 지속되고, 국제선 운항이 재개 확대되면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환율에 당기순손실로 전환
아시아나항공이 올해 2분기 별도 기준 2113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해 작년 2분기 대비 1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화물 사업 호조와 국제선 재개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될 결과다.
12일 아시아나항공에 따르면 같은 기간 매출액은 51% 증가한 1조4100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손실은 915억원을 기록, 634억원을 기록했던 작년 2분기 대비 적자로 전환됐다. 아시아나항공은 항공 화물 사업의 호조가 지속되고, 국제선 운항이 재개 확대되면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환율 영향에 따른 외화환산손실로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영업이익은 작년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2분기 화물 사업 매출은 8183억으로 작년 2분기 대비 16%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 유럽 ▲ 동남아 ▲ 중국 노선 등이 작년 동기 대비 각각 52%, 20%, 51% 증가해 실적을 견인했다. 주요 운송품목은 ▲ 전자기계 및 기계부품 ▲ 반도체 및 제조장비 ▲ 자동차 및 부품 등 고부가가치 제품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외에도 코로나19 진단키트 및 T50 고등훈련기 전세기 수송 유치, 경유지 조정 등 탄력적 노선 운영을 통한 공급 확대를 통해 수익성을 강화했다.
같은 기간 여객 사업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국제선459%, 국내선 59% 증가해 5043억을 기록했다. 국내외 출입국 규제 완화 및 여행 수요 회복세에 따라 국제 여객 공급을 점진적으로 확대한 결과다. 특히 ▲ 유럽 ▲ 미주 ▲ 동남아 노선 매출이 작년 동기 대비 각각 1,121%, 523%, 525% 증가하는 등 장거리 및 동남아 노선 중심으로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아시아나항공은 파리, 로마, 하와이 운항재개 등 국제선 운항을 전분기 대비 주 39회 확대해 수요 동향에 적극 대응했다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은 하반기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해, 화물 수요를 사전 확보하고 공급 최적화를 위한 운항 스케줄 재검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여객 수요가 견조한 노선을 중심으로 지속 증편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화물 사업이 버팀목이 된 가운데 국제 여객 사업이 점진적으로 회복됨에 따라 2분기 호실적을 기록할 수 있었다”며 “하반기에도 안전운항, 효율적 기재 운영 및 노선 관리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결혼할까, 말까…” 다윈도 못푼 인생 미스터리, 풀어낸 美경제학자
- [인터뷰] 30년 인텔맨이 韓 스타트업 합류한 이유… 빌 레진스키 퓨리오사AI 고문 “AI 반도체 시
- “이번 추석엔 고금리 특판 없어요”… 불황에 달라진 저축은행 풍속도
- 한국선 두꺼비, 해외선 K-소주 칵테일... 세계화 박차 가하는 ‘진로’
- [미래 지킬 K무기] 핵무기급 미사일 ‘현무-5′… 지하 100m 벙커도 파괴
- [기후변화는 지금] 사과 대신 구아바, 명태전 대신 돔전...미리 살펴본 22세기 추석 차례상
- 이재명, 구속 위기 넘겼지만 사법리스크 남았다...숫자로 보는 혐의점
- [뉴테크] 전기차·수소차 다음은 양자차…양자로 작동하는 엔진 나왔다
- 건별 결제·성인영화 서비스… 토종 OTT 왓챠의 승부수
- 순익 3분의 1토막 난 버거킹, ‘와퍼 사재기 대란’ 겹악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