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어비스, 신사옥 '홈 원' 입주 완료..세계 최고 수준의 게임 개발 메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펄어비스는 12일 경기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조성된 신사옥 '홈 원(Home One)' 입주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게임 개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홈 원 입주로 직원들은 그간 4개 건물에서 흩어져 일해오다 앞으로는 하나의 공간에 모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협업이 가능해 게임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펄어비스는 12일 경기 과천지식정보타운 내 조성된 신사옥 ‘홈 원(Home One)’ 입주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게임 개발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펄어비스에 따르면 ‘홈 원’이라는 사옥명에는 회사의 ‘첫 번째 집(사옥)’이라는 뜻과 ‘하나의 사옥으로 모이는 우리’라는 의미를 담았다. 홈 원 입주로 직원들은 그간 4개 건물에서 흩어져 일해오다 앞으로는 하나의 공간에 모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빠른 협업이 가능해 게임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홈 원은 대지면적 7014㎡, 지상 15층, 지하 5층 규모의 건물이다. 사옥 외관은 물결 무늬로 꾸며져 회사 이름에 들어있는 심해(어비스)의 ‘파동’을 표현했다.
홈 원의 개발 콘셉트는 ‘거대 게임 개발 기지’다. 이를 위해 설계부터 신경썼다. ‘붉은사막’, ‘도깨비’ 등 신작 개발이 이뤄지고, 펄어비스 게임의 근간이 되는 게임 엔진 스튜디오도 위치했다. 사실적인 게임 액션 구현을 위한 국내 최대 규모 ‘모션 캡쳐 스튜디오’와 폴리 사운드 스튜디오, 작곡가룸, 더빙룸을 갖춘 ‘오디오실’도 만들었다.
준공 예정인 ‘아트센터’에는 3차원(3D) 스캔스튜디오까지 들어설 예정이다. 이를 종합하면 자체 개발 게임 엔진으로 최고 수준의 그래픽과 콘텐츠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회사 관계자는 “홈 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할 명작을 제대로 만든다’는 회사 철학을 엿볼 수 있다”라고 했다.
홈 원은 직원들이 함께 모여 다양한 고민과 토론이 이뤄지는 커뮤니티로서의 기능도 강화했다. 엘리베이터와 비상계단 뿐 아니라 직원들이 위아래층을 오갈 수 있도록 업무 공간 전체는 수직 계단으로 연결됐다.
직원 소통 공간은 사옥 내 170여개가 마련됐다. 층마다 여러 형태의 공용 공간을 만들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업무 협업을 가능케 했다. 회의실 예약은 회의실 출입문의 태블릿 예약 시스템으로 할 수 있다.
업무 능률 향상을 위한 복지 편의 시설은 확대됐다. 사내 어린이집 ‘깊은 바다 고래 어린이집’, ‘사내 병원’, ‘실내 농구장과 피트니스’, ‘마사지실’, ‘심리상담센터’, ‘무료 사내식당과 카페’, ‘전직원 수용 가능한 주차장’ 등을 조성했다.
허진영 펄어비스 대표는 “홈 원에서 함께 모여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일하게 됐다”며 “검은사막 지식재산권(IP)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전례 없는 성공을 한 만큼 새사옥에서 이용자에 사랑받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함께 같은 꿈을 이뤄 나가길 기대한다”라고 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삼성도 리스크?" 美 '불멸의 물질' 규제에 반도체 '발칵'
- "대통령님 좀 보세요" 폭발적 조회 수 기록 중인 이 영상
- 수십兆 적자에 해외출장서 관광… 막 가는 에너지公 임원들
- ‘여성 백종원’ 이여영 월향 대표 “전남편 폭행, 불면의 밤 보낸다”
- “집에 가고 싶음”... 고양시청 계정에 심정 드러낸 ‘MZ 공무원’
- 회사는 위기인데… 부동산 PF 임원, 수십억 '돈잔치' 논란
- 수해 흔적 '탈탈'… 포스코의 심장, 더 세차게 다시 뛴다
- "고물가는 기회죠" 이마트·쿠팡도 찾는 밀키트 업계 1위
- [세종풍향계] 요즘 태양광 패널 보면 한숨 나온다는 산업부 속사정
- [스타트UP] “무자비하게 줄였다” 생활용품 ‘가격 파괴’ 꿈꾸는 와이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