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저금리에 해외자본 日부동산 매입 러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엔화 약세에 일본 부동산의 달러 표시 가격이 하락하자 해외 자본이 부동산 매입에 나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2일 "(일본 부동산이) 미국 뉴욕이나 영국 런던 등과 비교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고 저금리로 차입 비용도 낮아 해외 자금에 매력적인 시장이 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게다가 일본은행의 초저금리 정책 기조가 이어지면서 일본 부동산 구매 때 필요한 차입 비용도 금리 인상에 나선 미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엔화 약세에 일본 부동산의 달러 표시 가격이 하락하자 해외 자본이 부동산 매입에 나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2일 “(일본 부동산이) 미국 뉴욕이나 영국 런던 등과 비교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고 저금리로 차입 비용도 낮아 해외 자금에 매력적인 시장이 되고 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모건스탠리·MUFG증권이 산출하는 일본의 상업용 부동산 가격지수는 올해 3월 말 현재 104.4(2010년 평균=100)로 지난 2008년 ‘리먼 쇼크’(세계금융위기) 당시와 비슷한 수준이 됐다. 이후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서 올해 6월 말 기준 잠정치는 93으로, 이 증권사가 지수를 산정하기 시작한 이래 최저치였던 2014년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하락했다.
게다가 일본은행의 초저금리 정책 기조가 이어지면서 일본 부동산 구매 때 필요한 차입 비용도 금리 인상에 나선 미국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부동산서비스 업체인 CBRE는 앞으로 10년 동안 도쿄 도심 5개 구(區)에 있는 대형 오피스 빌딩의 기대 수익률이 일본의 장기금리 대비 2∼3%포인트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계 투자펀드인 ‘거캐피털파트너스’는 올해 봄 도쿄와 오사카 등에서 임대용 아파트 32건을 사들인 것을 비롯해, 앞으로 2년 동안 최대 5000억엔(약 4조9000억원) 규모로 일본 부동산을 매입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2년 동안 이 펀드가 매입한 규모의 6배가 넘는다.
정부계 펀드인 싱가포르투자청(GIC)도 도쿄 중심가에 있는 ‘더프린스파크타워호텔’ 등 부동산 시설 31건을 총 1471억엔(약 1조4000억원)에 매입할 방침이다. 미국 교직원퇴직연금기금(TIAA) 역시 고령자용 주택 등 일본 부동산에 130억엔(약 1270억원) 넘게 투자하기로 했다.
니혼게이자이는 “해외 자금의 투자는 계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ㅁ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중국인들이 원정 와요" 남대문시장이 들썩이는 이유
- LG의 ‘아픈 손가락’ 디스플레이…신평 3사 등급 전망 모두 내리고 올해도 1.3조 적자 전망
- “쇼핑몰로 옮겼더니 매출 70% 증가” 아웃백 새 전략 통했다
- 카톡 프로필에 ‘R’ ‘316’ 있으면 JMS 신도… 탈퇴자의 폭로
- OTT 보여주고 선물 주고… 車업계 “대기고객 취소 줄여라”
- '복귀설 부인' 심은하 만난 김영철 "절 너무 좋아해 주셔"
- 작년比 50% 폭락… '여기'에 투자했다 속 타는 미래에셋
- 애플페이 오늘부터 한국 서비스 시작… 긴장하는 삼성페이
- 韓 방산, 美 보잉과 미래 무기체계 공동 연구·개발한다
- 줄넘기·자전거, 집에서 가르쳐도 되는데...초등학생 예체능 사교육비 47% 뛴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