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PPI 둔화에도.. 뉴욕증시 "차익 실현" 혼조세

이관범 기자 2022. 8. 12. 11: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뉴욕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세 둔화에도 혼조세를 나타냈다.

전일만 해도 '물가 정점론'에 힘입어 3대 지수가 모두 급반등했으나 차익 실현 매물 출현과 경기침체 우려 제기에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자들은 전날 나온 7월 CPI와 함께 '물가 정점론'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 받아들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우 0.08%↑ 나스닥 0.58%↓

경기침체 우려 제기 ‘숨고르기’

미국 뉴욕증시가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은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세 둔화에도 혼조세를 나타냈다. 전일만 해도 ‘물가 정점론’에 힘입어 3대 지수가 모두 급반등했으나 차익 실현 매물 출현과 경기침체 우려 제기에 ‘숨 고르기’에 들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1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7.16포인트(0.08%) 오른 33336.6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7포인트(0.07%) 하락한 4207.27을 나타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4.89포인트(0.58%) 떨어진 12779.91로 장을 마감했다. 미국의 7월 PPI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8% 올라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4개월 연속 11%대의 상승률을 기록하다 8개월 만에 10%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전달 기록한 11.3% 상승보다도 크게 낮았다. 전월 대비로는 0.5% 떨어져 코로나19 사태 발생 직후인 2020년 4월 이후 처음으로 내림세로 돌아섰다. 투자자들은 전날 나온 7월 CPI와 함께 ‘물가 정점론’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신호로 받아들였다. 7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5% 올라 전달 기록한 9.1% 상승을 밑돌았다.

반면, 경기침체를 가늠하는 지표 중 하나인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지난해 11월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6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1만4000명 증가한 26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변동성이 덜한 4주 이동평균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도 직전보다 4500명 증가한 25만2000명을 기록했다. 기업 실적은 희비가 엇갈렸다. 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월트디즈니는 예상보다 구독자 수가 늘었다는 소식에 4% 이상 올랐다. 놀이공원 운영 식스플래그스 엔터테인먼트의 주가는 18% 이상 폭락했다.

이관범 기자 frog72@munhwa.com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