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학 中 유학생 '반토막'..美 대학 재정 타격 우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으로 유학하는 중국인 학생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 시각) 미 국무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 대학들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던 중국인 유학생들의 급감은 대학들에 상당한 재정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으로 유학하는 중국인 학생 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직전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 시각) 미 국무부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 대학들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였던 중국인 유학생들의 급감은 대학들에 상당한 재정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교육개방협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9∼2020학년도에 미국에서 공부하는 중국 국적자는 전체 미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35%를 차지했고, 159억달러(약 20조7천억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
WSJ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 정부가 중국 국적자 3만1천55명에게 F-1 학생비자를 발급했다.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전인 2019년 상반기 6만4천261건에서 절반 이상 급감한 수치다.
대학별로 네브래스카대(링컨에 있는 메인 캠퍼스)의 경우 작년 가을학기에 등록한 중국인 학생이 415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2016년 1천234명에서 66% 감소했다. 인디애나대는 올해 봄학기 기준 중국인 학생 수가 1천600명에 못 미쳐 2015년 대비 반 토막났다.
중국인 유학생 감소에는 엄격한 코로나19 여행 제한과 주중 미국영사관들의 비자 업무 일시 중단 여파, 미중관계 악화, 중국 관영매체들의 부정적인 미국 관련 보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가 지난 2020년 중국군과 조금이라도 연계된 대학원생과 연구자의 미국 입국을 금지한 것도 중국 유학생 감소의 배경으로 꼽힌다. 중국군과 명확한 관계가 없는 유학생조차 비자를 거부당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중국 매체들은 미국의 코로나19 사망 문제와 총기 폭력, 반(反)아시아 인종차별 등을 부각하고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인터뷰] “전기차 혁명의 주역은 테슬라 아닌 K배터리”…‘밧데리 아저씨’의 이유있는 역설
- 통신칩도 대만이 움켜쥐나… 미디어텍, 인텔 모뎀사업부 인수로 삼성과 격차 벌려
- ‘기무치 다음은 맛코리?’ 원조 한국산 자리 밀어내는 일본산 막걸리
- 이렇게 생긴 중국산 카스테라 절대 사지 마세요
- 의무매입의 역설… 2030년 쌀에만 3.5조 들어가는데 농가는 더 빈곤해진다
- 中·日도 ‘mRNA’ 기술 확보했다...‘패권 다툼’ 시작했는데 한국은 ‘걸음마’
- 드디어 반등장?… 서울 아파트 거래량, 1년 반만에 '최고'
- ‘9년째 공터’ 용산 금싸라기땅… 부영, 착공 안하는 이유
- 코스닥 시총 50위권에도 못 들었는데 10위로 ‘쑥’…레인보우로보틱스에 쏠리는 눈
- "맥심 화보 찍었으니 양육권 내놔라"…소송 당한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