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평균 집값 5억4000만원 '역대 최고'..상승세 둔화 관측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의 집값이 지난 2분기에 사상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너무 치솟은 집값 부담에 대출 금리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격 오름세는 이미 둔화하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WSJ는 주택 경제학자들이 이미 일부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느려지기 시작했으며, 연말까지는 전국적으로 오름폭이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집값이 지난 2분기에 사상 최고가 기록을 갈아치웠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너무 치솟은 집값 부담에 대출 금리 부담이 가중되면서 가격 오름세는 이미 둔화하기 시작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11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부동산중개인협회(NAR) 자료를 인용해 미국의 2분기 단독주택 평균(중간값)이 전년 동기보다 14.2% 오른 41만3500달러(약 5억3838만원)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분기별 주택 가격이 40만달러를 돌파한 것은 이번이 사상 처음이었다.
185개 도시권 중 두 자릿수대 상승률을 찍은 지역이 80%로 1분기(70%)보다 오름세가 가팔라졌다. 전체 도시권 중 지난해보다 집값이 내려간 지역은 뉴저지주의 트렌턴 단 1곳 뿐이었다.
여전히 미국의 집값이 오르는 것은 공급 부족으로 분석된다. 주택시장 과열로 새집을 찾기 어려워진 잠재적 매도자들이 현재 사는 집을 매물로 내놓지 않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노동력 부족으로 신규 주택 착공도 지연되고 있다.
로런스 윤 NAR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집값이 특히 중저소득 계층 노동자들에게는 임금 상승폭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올랐다”며 “최근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으로 추가 매수층이 시장에 유입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2분기 미 단독주택 가격 상승률 14.2%는 1분기 15.4%보다 조금 떨어진 수치다. WSJ는 주택 경제학자들이 이미 일부 지역에서 집값 상승세가 느려지기 시작했으며, 연말까지는 전국적으로 오름폭이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너무 높이 올라버린 집값에 더해 최근 꺾였던 모기지 금리가 다시 올라간 것이 수요를 더 얼어붙게 만드는 요인이다. 미 국책 모기지업체 프레디맥에 따르면 이번 주 30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5.22%로 다시 5%를 넘어섰다. 2분기 현재 미국의 평균적인 단독주택 매수자가 매달 갚아야 할 모기지 상환액은 월 1841달러로 전년 동기 1229달러에서 50%가량 치솟았다고 NAR은 밝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북미 인프라 호황에 기계株 ‘돌격’ ... 증권업계 실적 전망치도 상향
- “주문 실수하면 1초 만에 85% 날릴 수도” 공모주 개선안 시행 앞두고 증권가 우왕좌왕
- “쇼핑시설 아쉽다”…인천공항이 ‘포디움’ 못오르는 이유
- 말로만 ‘ESG’ 외치는 네이버·카카오… 전기 20% 더 쓰는 ‘공랭식’ 데이터센터 고집
- 수술로봇 원조 위협하는 ‘중국판 다빈치’ 온다…中 기업들 반값 앞세워 도전장
- [르포] 참이슬 닮은 ‘참좋은’?... 동남아 휩쓰는 ‘짝퉁’ 韓 소주
- [중견기업 해부] 3세 승계 시동 삼화페인트, 첫 여성 리더 나오나
- 신경영 30주년 맞는 이재용의 뉴삼성… “어려운 시기에 도전 없으면 미래도 없다”
- [사이언스카페] 수술 없이 1회 주사로 길고양이 피임 “반려동물 복지에 이정표”
- 새벽배송 시켰는데 ‘곰팡이 식빵’이…SSG닷컴 “오배송, 우리도 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