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생각] 무감각을 깨우는 기후운동가의 편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6세기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눈 속의 사냥꾼> 에는 유럽 플랑드르 지방의 정경이 그려진다. 눈>
미국의 기후운동가 대니얼 셰럴은 이 그림에서 기후 위기의 본질을 떠올린다.
기후변화를 마주한 사람들의 모습이 화폭 속의 지독한 '무감각함'과 닮았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뜨거운 미래에 보내는 편지
소멸하는 지구에서 살아간다는 것
대니얼 셰럴 지음, 허형은 옮김 l 창비 l 2만원
16세기 화가 피터르 브뤼헐의 그림 <눈 속의 사냥꾼>에는 유럽 플랑드르 지방의 정경이 그려진다. 털모자로 얼굴을 싸맨 사람들은 연못에서 얼음을 지친다. 둑길로 마차가 달리고, 앞치마 두른 이는 땔감을 이고 간다. 이 풍경을 굽어보는 언덕에선 한 무리 사냥꾼이 사냥개를 몰아 마을로 돌아간다.
미국의 기후운동가 대니얼 셰럴은 이 그림에서 기후 위기의 본질을 떠올린다. 기후변화를 마주한 사람들의 모습이 화폭 속의 지독한 ‘무감각함’과 닮았기 때문이다. 그는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의 영화 <멜랑콜리아>에서 이 그림을 만났다. 영화에서는 그림이 정지화면으로 비춰지다 돌연 불에 그을린다. 썰매 타던 아이와 집들이 차례로 재가 된다. 하지만 그림 속 인물들은 불길이 자기한테 닥칠 때까지 “각자 제 할 일을 하고” 있다.
셰럴이 말하기를, 화석연료가 지구를 덥히는 과정은 “비가시적 침투”다. 화석연료는 “파이프라인에 숨어” 있다가 “건물 벽을 통해 흐르고”, 연소되는 순간 “냄새만 남기”고서 공중으로 분해된다. 태평양 섬들과 남반구 대부분에서는 이 연소가 몰고온 기후재난으로 매년 수만명이 죽는다. 그 와중에도 서구인 대다수는 문제에 무관심하다. 이 점이 기후운동가를 낙심시킨다.
그럼에도 셰럴은 기후운동을 이어갈 “여지”를 찾는다. 기후위기는 돌이킬 수 없도록 심각해졌지만 그로 인한 ‘종말’을 연기할 가능성과 책임은 인간에게 남아 있다. “다 타버리거나 물에 잠긴 땅에 삶을 여전히 얹어둔 채 살아가는 사람들이 수백만명이나 있는 마당에, 그들이 아직 포기하지 않았다면 우리도 포기할 수 없는 거야.” 셰럴은 그림 속 같은 무감각에서 벗어나야 할 이유를 호소한다.
천호성 기자 rieux@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대위 전성시대…리더십도 비상함도 없는 한국 정치
- 물난리 났는데 길에서 허둥댄 ‘재난대응 주무 장관’ 이상민
- 산책 중 급류에 휩쓸려 숨졌다면…헷갈리는 ‘수해사망자’
- 반지하 장애인 가족 장례식장 앞…촛불이 하나둘 켜졌다
- 윤석열 외교, 출발도 못하고 좌초 위기…미·중·일·북 ‘사면초가’
- 카페에서 물건을 훔쳐가지 않는 나라 / 박권일
- 대통령실, 문건 유출 행정요원 해임…담당 비서관은 감찰중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2년여 만에 하락…물가 진정되나
- 이번 폭우 ‘닮은꼴 비구름’ 16일 또 온다…남부도 영향권
- 한동훈의 역주행…‘등’ 한글자 내세워 검찰 수사 범위 넓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