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감염 비율 5~6%대로 높아져

김경은 기자 2022. 8. 12. 00: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감염 소요기간도 줄어

코로나에 최초 확진됐다 또 걸리는 재감염 비율이 5~6%대로 높아지고 재감염까지 걸리는 시간도 짧아지고 있다. 11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6월까지 재감염엔 평균 229일 걸렸지만, 7월은 그 소요 시간이 154~165일로 60여 일 단축됐다.

국내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비율도 6월 넷째 주 2.94%에서 7월 셋째 주 6.59%, 7월 넷째 주 5.43%로 높아지고 있다. 17세 이하와 백신 미접종군이 더 많이 재감염됐다. 지난달 재감염 추정 사례 중 17세 이하 비율은 49.2%였다. 2020년 1월 코로나가 국내에서 발생한 이후 전체 확진자 가운데 17세 이하는 23.1%인데, 최근 한 달 새 17세 이하 재감염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7월 재감염 추정 사례 중 백신 미접종군은 약 50%다. 백신 미접종군 비율이 전체의 12%인데, 이들이 재감염 사례 중 절반을 차지하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전파력과 면역 회피력이 높은 변이가 많아지고 자연 면역 또는 백신 면역에 의한 효과가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기 때문”이라면서 “앞으로 두세 달 동안은 재감염이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감염과 더불어 확진자 규모는 물론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역시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지면서 정부는 적극적인 먹는 치료제 처방을 주문하고 나섰다.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이 90%에 달하면서 “증상이 있으면 최대한 신속하게 진단받고 그 자리에서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는 ‘표적 방역’을 주문한 것이다.

11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418명. 전날보다 16명 늘고 2주 전과 비교하면 2배 넘게 증가했다. 사망자 59명도 전날보다 9명 늘어난 데다 2주 전보다 2배 이상 증가세가 뚜렷하다. 특히 감염에 취약한 60세 이상이 위중증 환자의 86.4%, 사망자의 89.8%다.

방역 당국은 이달부터 60세 이상과 면역 저하자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중단하면서, 고위험군은 코로나 검사와 진료, 처방을 한 번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 기관에 가면 바로 치료제를 처방받거나 격리 병상으로 신속히 이송될 수 있다고 장담했다. 팍스로비드 등 치료제 처방 속도가 부진한 부분도 원스톱 진료 기관이 늘면 자연히 해소될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일부 의료진이 처방에 소극적이라 환자들이 약을 처방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고 정부가 이를 적극적으로 해달라고 당부한 것이다.

의료 현장에서 치료제 처방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투약 후 보건소 보고 등을 정부가 지난달 말부터 생략했지만, 현장에선 실효성이 거의 없었다는 반응이다. 한시적으로 지정된 원스톱 진료 기관 특성 상 단골 환자 대신 신규 환자가 많아 콩팥·간 기능이나 먹는 약 등은 환자 진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특히 고령층 환자는 자신이 먹는 약이 뭔지 잘 모르고, 고혈압이라면 고지혈증 약인지 혈액응고인자 저해제인지 등을 세세히 알아야 하는데 그냥 “고혈압약”이라고만 하면 의료진이 먹는 치료제 처방에 주저하면서 고충을 겪어 왔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