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 압력 완화 조짐에 美 뉴욕 증시 상승 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둔화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될 조짐이 보이자 1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하는 데 그치면서 전월(9.1%)보다 상승률이 떨어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둔화하며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될 조짐이 보이자 1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증시 3대 지수가 상승 출발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42포인트(0.4%) 오른 3만3451.51에 거래를 시작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21포인트(0.4%) 상승한 4228.25, 나스닥지수는 90.02포인트(0.7%) 오른 1만2944.82에 출발했다.
이날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PPI가 떨어진 것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기 시작한 2020년 4월 이후 처음이다.
PPI는 전년 대비로는 9.8% 올랐는데 작년 10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6월 11.3% 오른 것과 비교해도 상승 폭이 둔화 됐다.
전날 발표된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역시 전년 동월 대비 8.5% 상승하는 데 그치면서 전월(9.1%)보다 상승률이 떨어졌다. 이에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분석에 힘이 실렸다.
금융시장 관계자들은 물가 상승세가 약화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긴축 정책 속도를 늦출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는 주식시장에는 호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인터뷰] 모더나 설립자 “이재용 바이오 육성 전략 존경해...한국에 생산기지 검토 중”
- 국제공항평가 1위→4위… 인천공항 '톱3' 못오르는 이유
- 자동화에 소외된 노년층, 실버영화관 몰린다
- 송혜교·차은우, 파리서 만남 성사! '국위선양' 비주얼
- 한국어 공부에 푹 빠진 한국토요타자동차 사장
- "주문 실수하면 1초 만에 85% 날릴 수도" 증권가 대혼란
- 의료계 '대륙의 실수'… 원조 위협하는 '반값' 수술로봇
- 북미 인프라 호황에 돈방석… 연일 고공행진하는 국내株
- [르포] 참이슬 닮은 ‘참좋은’?... 동남아 휩쓰는 ‘짝퉁’ 韓 소주
- '이건희 정신' 되새겨야 할 때… 삼성 위한 이재용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