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연속.. 무역적자 고착화 우려

곽은산 2022. 8. 11. 17: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월 벌써 76억7700만弗 적자
대중 적자도 4개월 연속 유력

올 들어 무역수지 적자폭이 커지고 지난 4월 이후 무역적자 행진이 계속되면서 ‘적자 구조’가 고착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무역수지는 30년 만에 4개월 연속 적자를 앞두고 있다.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이 무역수지 적자의 주된 원인이긴 하지만, 반도체 등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첨예화하는 상황을 감안하면 중국과의 무역적자가 구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56억88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2% 증가했다. 이 기간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일)보다 하루 많았다. 일평균 수출액은 8.7% 늘었다. 이달 1∼10일 수입액은 233억65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34.1%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76억77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이달 10일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229억3000만달러다. 지난해 같은 기간엔 144억달러 흑자였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156억8천80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3.2% 증가했다. 수입액은 233억6천500만 달러로 1년 전보다 34.1% 늘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76억7천7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사진은 11일 오전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을 보면 석유제품(177.0%), 승용차(191.9%), 철강제품(26.3%), 자동차 부품(29.4%), 정밀기기(9.5%) 등에서 수출액이 지난해보다 늘었다. 반면 반도체(-5.1%), 무선통신기기(-17.7%), 컴퓨터 주변기기(-19.0%) 등은 줄었다.

수출 국가별로는 미국(17.5%), 유럽연합(EU, 66.2%), 베트남(10.2%), 싱가포르(169.1%) 등에서 수출이 증가했고 중국(-2.8%), 홍콩(-44.4%) 등은 감소했다.

올해 1∼7월 누적 무역수지 적자액은 150억2500만달러에 달하며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56년 이후 66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상황이다. 월별 무역수지는 지난 1월 49억300만달러에 이어 4월 24억7700만달러, 5월 16억1400만달러, 6월 25억7500만달러, 7월 46억69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해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 이후 첫 4개월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5개월 연속 적자는 2007년 12월∼2008년 4월 이후 없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원유 등 에너지 가격이 지금은 다소 낮아져 있지만 향후 동절기에 접어들면서 수요 증가에 따라 수입액이 늘어날 수 있다”면서 “특히 중국 성장률이 둔화되고 미·중 갈등 문제, 한국과 중국의 기술 격차가 줄어들면서 수출이 크게 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대중 무역수지는 1992년 이후 30년 만에 지난 5∼7월 3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간 데 이어 이달 1~10일에도 8억9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달 적자 폭이 줄면서 이달 흑자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이달 초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며 여의치 않은 모양새다.
대중 무역적자 원인은 원자재·중간재 수입 급증과 공급망 재편 등 복합적 요인들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9일 발표한 대중 무역적자 원인과 대응 방안 보고서에서 최근 대중 무역적자가 배터리·반도체 등 중간재 무역수지 악화, 디스플레이 등 생산 감소,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에 따른 관세 인하 등 복합적 요인들로 인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런 양상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 도시봉쇄 등 영향으로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공급망 다변화, 물가 안정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교역구조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수입 다각화와 기술력 확보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일본·대만과 함께 하는 반도체 공동망 협의체인 ‘칩4 동맹’ 참여를 앞둔 상황 등을 고려하면 우리 경제를 향한 중국의 제재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국은 한국의 칩4 참여에 대해 불편함을 숨기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193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동월(194억8000만달러) 대비 0.8% 감소했다고 이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조업일수가 작년 7월 24.5일보다 1일 줄어든 영향 등으로 수출이 소폭 줄었다고 설명했다.

곽은산 기자, 세종=이희경 기자 silver@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