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경영연구소 '배달앱 이용 특성' 분석 보고서 발표

홍성완 기자 2022. 8. 11. 14:2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 가구, 30대 많은 지역 배달앱 사용횟수 및 금액 높아

[스포츠한국 홍성완 기자] 코로나19 유행을 기점으로 음식 배달 수요가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서울에서 30대가 가장 많이 배달앱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1인 가구가 많은 지역인 강남구의 역삼1동이 배달앱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1인 가구 비율과 3인 이상 가구 비율에 따른 배달 이용 금액. 1인 가구 비율이 높은 역삼1동, 논현1동, 신림동 등은 목5동, 길음1동 등과 비교해 인당 이용 금액이 많음. 목5동, 길음1동 등과 같이 3인 이상 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역삼1동 등과 비교해 인당 이용 금액이 적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1일 하나카드의 배달 앱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배달 앱 이용 현황과 메뉴 유형별 수요 특성' 보고서를 발표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최근 2년간 음식 배달 수요가 크게 늘어나며 배달 앱 사용이 일상화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주말로 갈수록 배달 수요가 증가했다. 치킨과 족발·보쌈은 월요일 대비 토요일에 이용 건수가 최대로 증가했고, 피자와 중식은 월요일 대비 일요일에 최대로 증가하는 등 메뉴 유형별로 주말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서울시 행정동별 인구 구성과 배달 수요 특성을 분석한 결과 30대 인구비율이 높을수록, 가구원 수가 적은 행정동일수록(특히 1인 가구) 인당 배달 수요가 더 많았다.

코로나19 유행 시기 인당 월 평균 배달앱 이용 건수는 5.4회에 달했다. 이용금액은 약 13만원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유행되기 전인 2020년 1월부터 4차 유행 이후인 2021년 12월까지 주요 배달 앱에서 하나카드 원큐페이로 결제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0년 대비 2021년 배달 앱 전체 이용 건수는 29%, 전체 이용 금액은 35%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월 평균 배달 앱 이용 건수는 2020년 1월 4.1건에서 2021년 12월 5.4건으로 증가해 평균 주1회 이상 배달 음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1인당 월 평균 이용 금액은 8만8000원에서 13만4000원으로 52% 증가했다. 주문건당 이용 금액도 16% 늘었다.

요일별 인기 메뉴도 차이가 나타났다.

배달 수요는 주말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해 이용 건수는 월요일 대비 일요일에 56% 증가하고 이용 금액은 월요일 대비 토요일에 66% 증가했다.

요일별 선호 메뉴를 보면 회식, 모임이 많은 금, 토요일 배달 수요가 가장 높은 메뉴 1위는 '치킨'이었다. 

토요일에는 치킨류(70%), 족발·보쌈(93%), 야식(73%) 이용 건수가 월요일 대비 가장 높게 증가했다. 일요일에는 피자(99%), 중식(92%), 패스트푸드(41%) 수요가 더 높게 증가했다. 이는 토요일보다 가볍게 식사(끼니)를 해결하기 위한 메뉴 수요가 더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 30대 인구비율, 가구당 연평균 소득에 따른 배달 이용 금액. 배달 수요가 많은 상위 20대 행정동을 비교한 결과 30대 인구 비율이 높고 가구당 연평균 소득이 높은 행정동일수록 대체로 인당 배달 이용 금액도 많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세대별로는 30대, 지역 특성으로는 1인 가구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배달 수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서울시에서 배달 수요가 많은 상위 20개 행정동을 비교한 결과 30대 인구 비율이 높을수록 인당 누적 이용 금액과 건수가 비례해 증가했다. 

30대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강남구 역삼1동의 경우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화곡1동과 비교해 1.6배나 많은 배달 수요를 보였다.

1인 가구 비율이 높거나 가구당 인구수가 적은 신림동, 논현1동도 상대적으로 인당 누적 이용 금액이 더 많았다. 또한, 가구당 연평균 소득이 높은 행정동이 인당 누적 이용 금액도 많았다.

일부 행정동에서는 특정 메뉴에 수요가 더 집중된 것으로 확인됐다. 

중식은 중국 동포 거주 비중이 높은 구로구 구로5동과 금천구 독산1동에서, 일식·회·돈까스는 서대문구 연희동에서, 피자는 동대문구 용신동에서 상대적으로 수요가 더 높았다. 

강남구 역삼1, 2동은 지리적으로 근접에도 불구 거주민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배달 수요를 나타냈다. 

보고서는 연령대별 인구 분포와 가구 특성 차이에 따른 배달 상권 분석 사례로 강남구 역삼1동과 역삼2동의 배달 앱 이용 현황을 비교했다. 역삼 1, 2동은 인구수는 유사하나 가구 특성에 차이를 보였고, 이로 인해 배달 수요도 달라졌다.

사무실과 오피스텔이 많은 역삼1동은 1인 가구와 30대 인구 비중이 높아 20-30대의 이용 금액이 전체의 74%를 차지했다. 이 지역은 상대적으로 한식 수요가 가장 많았으며, 두 번째로 수요가 많은 치킨보다 이용 건수가 1.6배 높았다.

반면, 초중고 등 학교가 밀집된 역삼2동은 상대적으로 3인 이상 가구와 40대 비중이 높고 30-40대 이용 금액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해당 지역은 역삼1동과 달리 한식과 치킨 두 메뉴간의 수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월요일 대비 토요일 이용 건수 증가폭이 가장 큰 메뉴도 차이를 보였는데 역삼1동은 피자 이용 건수가 110% 증가하는데 반해 역삼2동은 야식 이용 건수가 120%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상현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배달 앱 이용 성향은 연령대별 인구 구성, 가구당 인구수, 가구당 소득 등과 같은 지역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를 통해 지역별 배달 상권, 메뉴 유형별 소비 특성, 연령대별 메뉴 기호 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소상공인 마케팅과 지역 경기 파악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스포츠한국 홍성완 기자 seongwan6262@gmail.com

Copyright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