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역 일대 2027년까지 빗물저류배수시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김원진 기자 2022. 8. 10. 21: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세훈 시장, 1조5000억 들여 서울시 전체 치수 목표 강화
도림천·광화문 등 6곳 정비..정부 차원 대책 필요성 지적

서울시가 집중호우 때마다 물에 잠긴 강남역 일대에 100년에 한 번 올 수 있는 강도의 폭우에 대비한 대심도 빗물저장시설을 만들기로 했다. 서울 전체 치수 목표도 30년 빈도에서 50년 빈도로 상향한다.

이는 지난 8일부터 이틀간 내린 집중호우로 서울 도심 곳곳이 침수되고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면서 도시의 치수·방재 대책을 다시 설계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기후위기에 따른 ‘이례적 날씨’가 일상화된 상황에서 사후 복구보다 사전 예방하는 치수·방재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0일 대시민 입장문을 통해 “현재 30년 빈도로 나타나는 시간당 95㎜ 강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서울의 치수 관리 목표를 최소 50년 빈도(100㎜)로 상향한다”며 “항아리 지형인 강남은 100년 빈도(110㎜)를 감당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에는 지난 8~9일 이틀간 524㎜의 비가 쏟아졌다. 특히 강남 지역은 시간당 116㎜ 강수량을 기록했다. 기록적인 폭우에 5명이 사망하고 4명이 실종됐으며 30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기후위기로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데도 도시 치수 정책은 과거 경험치에 기대 안일하게 대응한 것이 피해를 키웠다고 비판한다. 김병식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교수는 “이미 수년 전부터 경고된 기후변화를 무시한 인재”라며 “통계·경제적 관점이 아니라 위기 관점에서 재난 관리 설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는 상습 침수지역 6곳에 대해 향후 10년간 1조5000억원을 들여 빗물저류배수시설을 건설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하수관로를 정비하고 소규모 빗물저류조, 빗물펌프장 등을 만드는 데도 총 3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주변보다 지대가 낮아 폭우만 오면 잠기는 강남역 일대는 3500억원을 들여 대심도 빗물저류배수시설을 2027년까지 건설한다. 범람이 잦은 서울 관악구 도림천에도 3000억원을 투입해 대심도 저류시설을 만들어 저수·통수 능력을 늘린다. 관악구뿐 아니라 동작·구로·영등포구에 걸쳐 흐르는 도림천은 서울 시내 지천 중 수해에 가장 취약한 곳으로 꼽힌다.

도심 광화문에도 대심도 저류시설을 만든다. 광화문은 2010년 9월 폭우로 일대가 침수됐을 당시 대심도 저류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됐으나 투입 예산 대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흐지부지됐다. 이후 지하의 관로가 ‘C자형’이어서 배수에 취약하다는 지적에 따라 관로 하나를 추가해 보강했지만 충분하지 않다는 게 서울시의 판단이다.

오 시장은 “강남역과 도림천, 광화문의 치수 강화는 2027년까지 마칠 것”이라며 “동작구 사당동 일대와 강동구, 용산구 일대는 도시개발에 맞춰 2030년까지 순차 보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명피해와 30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데 대해 시장으로서 책임을 통감하며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나 과거 대심도 저류지나 배수터널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을 때도 예산 문제 등으로 지연되며 결국 대부분 구체화되지 못했다. 시설들이 완성까지 수년에서 십수년이 걸리고 예산 규모도 막대한 만큼 지자체는 물론 정부 차원에서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이형 공주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기상변화에 대한 대비가 중앙정부 차원에서 미흡한 면이 있었다”며 “서울시 등 지자체는 물론 방재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등 정부 부처도 재난·재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보미·김원진 기자 bomi83@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