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맨홀 62만개..폭우때는 잠금장치도 소용없는 지뢰밭

윤보람 2022. 8. 10. 19:5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에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8일 밤 도심 속 맨홀 뚜껑이 맥없이 터져나가면서 인명 피해가 커졌다.

지대가 낮은 서울 강남 지역에서는 배수관 물이 역류하면서 맨홀 뚜껑을 뚫고 물기둥이 높이 치솟거나, 뚜껑이 날아가 주변 도로 아스팔트가 부서지는 위험천만한 장면이 목격됐다.

이 가운데 일부 맨홀에는 열림 사고를 막기 위한 뚜껑 잠금장치가 설치돼 있지만, 이번과 같은 기록적 폭우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간당 50mm 비에 1분도 안 돼 '펑' 40kg 덮개 열려..건물 벽 쪽 이동이 안전
전문가들 "맨홀 주변 위험성, 평상시에도 인식해야"
하수 역류로 뚜껑 없어진 배수구 위험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9일 새벽 폭우로 다수의 차량이 침수된 서울 강남구 대치사거리의 배수구가 뚜껑이 없어진 채 소용돌이치고 있다. 이날 침수된 서울 강남 지역에서는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하수가 역류하면서 배수구 강철 뚜껑이 유실된 곳이 다수 발생했다. 특히 침수된 곳을 걷다가 이 배수구에 빠져 실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2022.8.9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김준태 기자 = 서울에 기록적인 집중호우가 내린 지난 8일 밤 도심 속 맨홀 뚜껑이 맥없이 터져나가면서 인명 피해가 커졌다.

지대가 낮은 서울 강남 지역에서는 배수관 물이 역류하면서 맨홀 뚜껑을 뚫고 물기둥이 높이 치솟거나, 뚜껑이 날아가 주변 도로 아스팔트가 부서지는 위험천만한 장면이 목격됐다.

서초구 서초동에서는 성인 남매가 하수구에 빠져 실종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동생인 40대 남성은 숨진 채 발견됐고, 50대 친누나는 아직도 실종 상태다.

무게가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160㎏에 달하는 철제 맨홀 뚜껑은 폭우에 인명 피해를 불러올 수 있는 커다란 위험 요소다.

지난 2014년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침수가 잦은 강남역 하수도관을 본떠 모의실험을 한 결과, 시간당 50㎜의 폭우가 지속되자 채 1분도 안 돼 40㎏의 맨홀 뚜껑이 튀어나왔다.

지난 8일 강남 지역에서처럼 시간당 100mm 이상의 비가 퍼부은 경우는 맨홀 뚜껑이 채 30초도 수압을 견디지 못했을 수 있다는 의미다.

거리 위 '무기'로 돌변하는 뚜껑보다도 더 위험한 것은 물이 가득 찼을 때 눈에 보이지 않는 맨홀 구멍이다.

현재 서울시 관내 상·하수도 등이 지나는 맨홀은 총 62만4천318개다. 이 가운데 일부 맨홀에는 열림 사고를 막기 위한 뚜껑 잠금장치가 설치돼 있지만, 이번과 같은 기록적 폭우 상황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10일 "서초구에서 사고가 난 맨홀도 뚜껑 잠금장치가 있었지만 수압이 워낙 세 소용이 없었다"며 "기술적인 것만으로는 사고를 막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도 "잠금장치가 있는 맨홀도 여닫는 주체가 다양하기에 여러 번 여닫다 보면 닳을 수밖에 없다"면서 "잠금장치만 너무 세게 만들면 오히려 뚜껑이 깨져서 쪼개지는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막기 위해 맨홀 뚜껑 아래에 안전장치로 그물망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나, 평상시 도심 맨홀에는 그물망이 따로 설치돼있지 않다. 오히려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종자 수색 작업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10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119 특수구조대원 등이 폭우로 휩쓸린 실종자들을 찾는 작업을 하고 있다. 2022.8.10 pdj6635@yna.co.kr

빗물 배수를 원활하게 해 맨홀이 받는 수압을 낮추는 것이 근본 대책이지만, 불가항력적인 자연재해 상황에서는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조심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이 교수는 "맨홀이 보통 도로 쪽에 있으니 폭우가 오면 맨홀이 적은 건물 벽 쪽으로 붙어 움직여야 한다"면서 "맨홀 뚜껑이 역류하는 경우 물이 솟구치는 등의 징후가 있으므로 그것을 잘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공 교수는 "빗물이 잘 통과하도록 맨홀 뚜껑에 구멍을 많이 만들거나 하수관로에 사람이 잠시 머물만한 공간을 만드는 등의 방안도 생각해봐야겠지만 한계가 있다"며 "평상시에도 맨홀 주변으로 다니는 것은 위험한 행동이라는 점을 시민들이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맨홀 관리체계를 강화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서울시가 김형재 서울시의원(국민의힘·강남2)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평소 62만여 개 맨홀의 유지관리는 설치 주체인 26개 맨홀 설치기관이 담당한다. 상수도는 수도사업소에서, 하수도는 자치구에서, 전기·통신·가스는 한국전력 및 통신사 등 각 기관이 관리하는 식이다.

집중호우와 같은 재난 상황에 대비해 서울시가 관계기관과 협의해 전체적인 맨홀 현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안전조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 관계자는 "매년 1회 이상 맨홀 점검을 하지만 잠금장치 이상 여부까지 세세하게 확인하지는 못한다"며 "맨홀 잠금장치 현황 등을 파악하고 더 나은 대책이 있는지 기술적인 검토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