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스트리트] 대심도 빗물터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프랑스 파리가 세계적 도시가 된 원동력은 뭘까.
서울처럼 불투수(不透水) 면적 비율(2013년 기준 54.4%)이 높으면 빗물이 하수도관을 통해 하천으로 빠져나가게 해야 한다.
그 당시 나온 대책이 '대심도(大深度) 빗물터널' 건설계획이었다.
기존의 하수관이 골목길이라면 빗물터널은 고속도로에 비견되는 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8일 하룻밤 사이 서울 강남이 물폭탄으로 쑥대밭이 됐다. 현대 도시는 원천적으로 폭우에 취약하다.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뒤덮여 빗물이 땅으로 스며들지 못하는 탓이다. 서울처럼 불투수(不透水) 면적 비율(2013년 기준 54.4%)이 높으면 빗물이 하수도관을 통해 하천으로 빠져나가게 해야 한다. 시간당 100㎜ 가까이 쏟아진 이번 호우에 강남 일대가 잠긴 건 하수관 용량이 작아 제구실을 못했기 때문이다.
2011년에도 서울은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었다. 그 당시 나온 대책이 '대심도(大深度) 빗물터널' 건설계획이었다. 지하 30~40m 깊이에 대용량의 배수관을 설치해 빗물을 저장했다가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개념의 프로젝트였다. 기존의 하수관이 골목길이라면 빗물터널은 고속도로에 비견되는 셈이다.
상습 침수지역 7곳에 빗물터널을 건설하려던 이 계획은 이후 뒤틀려 버렸다. 오세훈에서 박원순으로 서울시장이 바뀌면서 양천구의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만 남기고 죄다 백지화됐다. 수십년에 한번 내리는 폭우에 대비해 1000억원 이상씩 예산을 투입하는 토목공사판을 과도하게 벌일 필요가 없다는 주장에 휘둘린 결과였다.
그러나 기후위기를 내다보지 못한 대가는 참담했다. 이후 서울에 폭우가 쏟아질 때마다 양천구는 끄떡없었지만, 강남 일대는 2020년에 이어 올해도 큰 피해를 입었다. '토건 공화국'이니 하며 전 정권과 차별화하려는 논리에 눈이 멀어 호미로 막을 수 있는 걸 가래로도 막지 못하게 된 꼴이다. 기상이변이 일상화된 지금이야말로 우리네 대도시의 치수(治水) 시스템을 전면 재설계할 때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영애 "70대 남편과 매일 키스…입금되면 다이어트"
- [초점]매출 200억 찍었지만…김수현 소속사 최대 위기
- "속옷도 없이"…클라라, 마사지 중 드러난 뒤태 '아슬아슬'
- "드럼통 열었더니 사람 발이"…日 여성 시신 유기사건
- 김종인 "尹과 절연해야…한동훈만이 민주당 이길 후보"
- 美 아역 출신 女배우, 임신 중 숨져…"고통 극복 위해 약 복용"
- '55억' 박나래 집, '도난 피해' 전에도 문제 있었다…무슨 일?
- 이철규 국힘 의원 며느리도 대마 양성…아들은 구속기로
- "김종민 아내 사진 왜 올려"…인순이, 결혼식 참석샷 '빛삭'
- "10년 키웠는데 내 아이 아니다"..주말 부부 아내의 문란한 취미 '충격' [헤어질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