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지도자 지지율, 윤 대통령 순위는? / 안영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자리 잡은 나라의 최고 권력자라면 국정 지지율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일희일비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되뇌던 이 나라 대통령실도 20%대 지지율 앞에서 더는 조바심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국정 지지율은 다음 선거는 물론이고 국정 동력에도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끼친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 변화 추이도 눈길을 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절차적 민주주의가 자리 잡은 나라의 최고 권력자라면 국정 지지율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다. “일희일비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되뇌던 이 나라 대통령실도 20%대 지지율 앞에서 더는 조바심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국정 지지율은 다음 선거는 물론이고 국정 동력에도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을 끼친다. 단지 그뿐일까.
주요 22개국 최고 권력자들을 상대로 국정 지지율을 조사해 순위까지 매기는 곳이 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모닝 컨설트’다. 2014년에 설립됐지만, 신예답지 않은 면모를 과시한다. 매일 전세계 3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정치적·경제적 태도, 브랜드 인식 등 방대한 분야를 조사한다. 그중 하나가 ‘세계 지도자 국정 지지율’이다. 매일 국가별로 조사한 뒤 일주일치 평균을 내서 매주 발표한다. 표본 수는 미국이 4만5000명으로 가장 많고, 다른 나라는 500~5000명 정도다. 오차범위는 ±1~4%포인트다.
7월27일~8월2일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24%로 나타났다. 그런데 모닝 컨설트의 인터넷 해당 페이지를 들어가도 윤 대통령의 기록을 바로 발견할 수 없다. 20위까지 자동 노출하고, ‘전체 보기’를 해야 21, 22위를 확인할 수 있게 돼 있어서다. 윤 대통령은 21위다. 지난달부터 거의 고착 상태다. 미국 역사상 같은 기간 역대 최저를 달린다는 조 바이든 대통령(12위)은 물론, 온갖 추문 끝에 조기 퇴임을 앞둔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19위)보다 낮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 변화 추이도 눈길을 끈다. 취임(5월10일) 다음날 이미 부정 평가(50%)가 긍정 평가(33%)보다 높게 나타났다가 6월6일 동률을 이룬 뒤 7일부터 긍정 평가가 앞서간다. 그러나 찰나다. 8일 3%포인트 격차(44%-41%)로 정점을 찍고 이내 좁혀져 11일 재역전되더니, 갈수록 벌어진다. 국내 여론조사보다 늘 부정 평가가 높고, ‘데드크로스’ 시기도 한달 가까이 이르다. 주목할 건 따로 있다. 둘 다 앞서거니 뒤서거니 일관된 추이를 보이는 점이다.
11일(한국시각) 모닝 컨설트는 3~9일 동안 조사한 세계 지도자 국정 지지율을 발표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 계단 올랐고(11위), 존슨 총리는 현상유지를 했다. 윤 대통령은 가장 아래(22위)로, 지지율은 10%대(19%)로 내려갔다. 모닝 컨설트는 왜 이런 조사를 할까? “기업의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솔루션을 강화하고 최고 리더들에게 비즈니스, 경제 및 지정학 전반에 걸친 예측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우리나라에 대한 전세계 기업가들의 머릿속이 궁금하다.
안영춘 논설위원 jon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불멸의 챔프’ 빌 러셀의 6번, NBA 전 구단 영구결번으로
- “김건희 논문 재검증 찬반투표”…국민대 교수들 “재조사위 판단 공감 어려워”
- ‘법 기술자’ 한동훈의 “시행령 쿠데타”…삼권분립 근간 흔드나
- 오늘 밤 하늘을 보세요…올해 마지막 슈퍼문이 뜹니다
- 골목상권 침해?…대형마트 ‘반값치킨’ 이번엔 당당했다
- 하루 13만? 33만? 재유행 정점 예측 큰 격차…병상준비가 관건
- 빗물이 빠진 자리…구슬땀으로 진흙 자국 지우는 사람들
- [공덕포차] “이준석, 큰 거 터트린다고...” 13일, 윤석열에게 직격탄 쏘나?
- 공군 팬텀 전투기 1대 서해 추락…조종사 2명 비상 탈출
- “수해 현장이 정치인 포토존인가?”…반지하 대학생이 묻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