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전국 첫 '대전투자청'설립..2023년까지 700억 확보
기업금융 중심은행 통합 운영..시민 공모주로 붐 조성도
10일 이장우 대전시장은 기자 간담회를 열고 "지역 유망기업 성장 지원과 윤석열 대통령 핵심 지역공약인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의 추진동력 확보를 위해 선제적으로 징검다리 역할을 할 대전투자청을 설립할 계획"이라며 "투자청은 향후 기업금융 중심 은행으로 확장하게 된다"고 밝혔다.
대전투자청은 여신금융전문업법 상 신기술금융회사(상법 상 주식회사) 형태로 추진된다. 신기술금융회사는 신기술을 사업화한 중소기업에 투자 또는 융자를 하는 금융회사를 말하며, 200억원 이상 자본금과 금융위원회 등록을 요건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선제적으로 500억원 공적자금을 출자하고 이를 매개로 시민, 지역 중견기업, 경제단체, 금융기관 등 민간자금을 추가로 조달해 내년 대전투자청 개청 때까지 총 700억원의 설립 자본금을 확보할 계획이다.
시 출자금은 일반회계 예산 투입없이 기존 펀드 회수금과 중소기업 육성기금 일부를 활용할 계획이며,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 전까지 1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적극적인 시민 공모주 모집 등을 통해 전 시민적 관심 조성에도 나선다.
대전투자청은 지역 중소기업의 새로운 자금원으로 시중 은행과 민간 투자사 등이 꺼리는 적극적인 모험자본 투자와 저금리 여신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연차적으로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 전까지 5000억원 이상 규모 공공 펀드를 결성하고, 결성액의 최소 60% 이상을 나노반도체·바이오·우주·방산 등 대전시 주력산업 분야 기업에 투자하게 된다. 기술력이 있지만 담보능력이 약한 기업을 위해 약 400억원 규모로 정부 공적자금 대출금리(연 3% 내외) 수준 저금리 여신도 제공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이달 안에 투자청 세부 설립 계획을 마련한 뒤 내년 상반기 중 금융위 등록과 설립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투자청은 향후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 때 법인 흡수 등을 통해 통합 운영된다.
이 시장은 "일류경제도시 대전 구현은 대규모 산업용지 공급과 기업금융 중심 은행 설립의 양대 축을 기반으로 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방산 등 주력산업을 육성하는 체계를 만드는 게 핵심"이라며 "투자청은 지역기업을 육성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설립이 하루 속히 가시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문 하나두고 천당과 지옥"…`강남 물폭탄`에도 끄떡없는 이 빌딩의 정체
- 당도 우려하는 이재명 오락가락 해명, 국민이 우습나 [핫이슈]
- [속보] 신규확진 15만1792명, 넉달새 최다…위중증 402명·사망 50명
- 강남 모텔비가 1박 30만원?…"재난에 폭리 취하다니"
- 눈 깜짝할 사이 남매 사라져…블랙박스 담긴 ’공포의 맨홀’
- 블랙핑크 리사, ‘19금 쇼’ 사진 공개...상의탈의 안 했다
- 편의점 9개로 연매출 100억 ‘미다스의 손’
- ‘대한민국 유도 첫 금메달’ 김하윤 “김호중 팬이에요” 수줍은 고백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나는 솔로’ 16기 광수·옥순, 현실 커플 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