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리테일, 비용 증가에 아쉬운 편의점 수익성..목표가↓-유안타

김응태 2022. 8. 10. 07: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안타증권은 10일 GS리테일(007070)에 대해 프레시몰 사업을 수익성 중심의 전략으로 선회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비용 증가로 편의점 이익 개선이 제한적이어서 유의미한 실적 개선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편의점 사업부와 퀵커머스, 반려동물 사업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지속된 점, 수익성 중심의 전략에 따른 이익 개선 폭이 하반기 100억원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김응태 기자] 유안타증권은 10일 GS리테일(007070)에 대해 프레시몰 사업을 수익성 중심의 전략으로 선회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비용 증가로 편의점 이익 개선이 제한적이어서 유의미한 실적 개선에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적 전망치 하향 전망에 따라 목표주가는 2만9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조정하고, 투자의견은 ‘중립(HOLD)’을 유지했다. 상승여력은 마이너스 3%이며, 전날 종가는 2만5750원이다.

이진협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GS리테일의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3.2% 증가한 2조8169억원, 영업이익은 10.8% 늘어난 474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 컨센서스를 소폭 하회하는 실적을 기록했다”며 “지난해 3분기 합병한 홈쇼핑의 실적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64% 감소한 153억원으로, 당사 전망치인 254억원 대비 약 100억원을 하회하는 실적이었다”고 진단했다.

GS리테일의 수익성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디지털, 자회사 등 ‘공통 및 기타’ 부문의 적자는 마이너스 670억원으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편의점 수익성 개선도 둔화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성수기인 데다, 기존점 성장률 2.9% 개선 및 매출총이익률(GPM) 0.4%포인트 상승에도 불구하고 편의점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억원 개선되는 데 그쳤다. 인건비와 IT투자비용, 마케팅 비용 등의 증가가 주효했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당분관 관련 비용의 집행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편의점의 업황 개선과 GS리테일의 편의점 이익 개선 간의 연결고리가 약해졌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호텔은 투숙률(OCC)의 개선으로 보유세 증가에도 전년 대비 156억원의 증익을 이뤄내 실적 방어에 기여했다. 홈쇼핑도 감익이 예상됐던 것과 달리 전년 수준의 이익을 기록했다.

수익성 부담으로 작용했던 프레시몰에 대해 공격적인 확장보다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수익성 중심의 전략으로 선회한 점으로 긍정적으로 판단했다. H&B스토어인 랄라블라도 오는 11월 중 철수를 공식화해 수익성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봤다.

다만 편의점 사업부와 퀵커머스, 반려동물 사업에 대한 투자는 장기적으로 지속된 점, 수익성 중심의 전략에 따른 이익 개선 폭이 하반기 100억원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응태 (yes010@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