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가처분 신청 한다, 창당 안 한다"
최종 결정되자 SNS에 글
당내 지지자 적어 세 축소
여론 악화 땐 '다음'도 없어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사진)가 9일 벼랑 끝에 내몰렸다. 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면서 대표직에서 자동 해임됐고, 측근 대다수는 당직에서 내려왔다. 법적 대응 외 의지할 수단이 사라졌고 당내에선 이 대표가 비대위 출범을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성비위 의혹 관련 수사도 이 대표 움직임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이 대표는 당 전국위원회가 비대위 전환을 최종 의결하면서 대표직을 상실하게 됐다. 이 대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한다. 신당 창당 안 한다”고 썼다. 오는 13일 기자회견을 연다. 이 대표를 지지하는 2030 청년당원 중심 모임 ‘국민의힘 바로 세우기’도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이 대표의 법정 투쟁에 대한 당내 여론은 곱지 않다.
이 대표는 곤란한 상황이다. 이 대표가 법정 다툼을 벌여 당내 여론이 더 악화된다면 이 대표의 차기 대표 재출마 가능성은 더 낮아진다. 하지만 가처분 신청을 제외하면 이 대표가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
당내 한 관계자는 “(이 대표가) 가처분을 빼면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세력이 있어야 정치적 싸움에서 패배해도 다음을 도모할 수 있는데, 이 대표를 지원할 인사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 최고위원은 전날 사퇴했고, 이 대표가 임명한 한기호 사무총장, 홍철호 전략기획부총장, 강대식 조직부총장도 같은 날 사퇴했다. 친이준석계 인사로 분류되는 김용태 최고위원은 “효력정지 가처분은 신청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경찰이 수사 중인 성비위 의혹 사건도 이 대표에게 부담거리다. 수사 결과 무혐의가 나온다면 정치적 부활을 도모할 수 있다.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하다. 법정에서 유죄 판결이 나온다면 사실상 정계 복귀가 막힐 수도 있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안철수 “역할 마다 않을 것”…김기현도 ‘위기 극복 리더’ 강조 행보
- 주호영 “당 분열 조속히 수습…한 발 더 헛디디면 절벽 아래 떨어져”
- 새 정부 92일 만에…집권여당 ‘비대위 체제’ 전환
- 윤석열 “기억하십니까” 김용현 “말씀하시니까 기억납니다”
- 윤 대통령 헌재 출석 전 두발 단장···법무부 “현직 대통령 의전·예우 고려해 허용”
- 이광우 경호본부장, 윤 체포영장 집행 당일 기관단총 배치 인정…“시위대 대비용”
- 가장 쓸모없는 운동이 촛불집회? 페미니즘?···혐오를 ‘놀이’로 소비하는 학생들
- 돌아온 김성훈 경호차장, ‘윤석열 방탄’ 강화…여론전 가담, 내부 입막음, 압수수색 거부
- 충청권 시·도지사, ‘충청광역연합’ 명의로 대통령 비호 입장문 논란
- 피해자만 234명…‘목사·집사·전도사’ 계급 두고 텔레그램 성착취 벌인 일당 검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