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 내리고, 물 고인 거리 입간판은 돌아가기"

2022. 8. 9. 20: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이하 공사)는 9일 침수 피해 시 감전사고 예방요령을 안내했다.

공사가 매년 발간하는 '전기재해통계분석'에 따르면, 2020년도 기준으로 장마와 집중호우가 잦은 6~8월에 일어난 감전사고 사상자(122명)가 전체(408명)의 29.9%에 이른다.

공사 관계자는 "예고 없는 자연재해를 막을 수는 없어도, 몇 가지 대처 요령을 알면 그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침수 피해 시 감전사고 예방요령 안내
[송부성 기자(=전북)(bss20c@naver.com)]
▲전기 차단기를 점검 중인 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이하 공사)는 9일 침수 피해 시 감전사고 예방요령을 안내했다.

80년만의 기록적인 폭우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곳곳에서 인명과 재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무덥고 습한 날씨 속에서 갑작스레 큰 비가 쏟아지면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 우려도 커지기 마련이다.

공사가 매년 발간하는 '전기재해통계분석'에 따르면, 2020년도 기준으로 장마와 집중호우가 잦은 6~8월에 일어난 감전사고 사상자(122명)가 전체(408명)의 29.9%에 이른다.

공사 관계자는 "예고 없는 자연재해를 막을 수는 없어도, 몇 가지 대처 요령을 알면 그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전했다.

▶침수대비 =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집중호우는 강이나 하천 주변은 물론, 지대가 낮은 지역 주택가의 침수를 부른다.
평소 집 밖 하수구나 배수시설이 막혀 있지는 않은지 미리 점검하고 물길을 틔워둔다.
또한 음식점, 상가에서 거리에 비치한 에어간판 등 전기시설물은 건물 안 안전한 장소로 옮겨놓아야 한다.

▶옥내시설 점검 = 주택 내 설치돼 있는 누전차단기 시험버튼을 눌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고, 집이나 건물 안팎에 노출된 전선의 피복 상태를 확인하는 일도 중요하다.
벗겨지거나 갈라진 전선은 전기공사업체 전문가에게 요청해 새 것으로 교체한다.
비가 오거나 침수 중인 상황에서는 함부로 전선에 손을 대거나 접근해선 안 된다.

▶침수 시 = 폭우로 집에 물이 들어오면, 가장 먼저 현관 앞 벽에 있는 누전차단기부터 내린다.
가전제품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도 잊어선 안 될 일이다.
이때 반드시 고무장갑을 사용해 탈착시킨다.
침수된 곳에서 물을 퍼내려고 할 때도 전기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배수 후 = 물 빠진 후라도 바로 차단기를 올려 전기를 쓰는 것은 위험한 일이다.
물기가 마르지 않은 상태서 전기제품을 사용하면 감전 등 2차사고 우려가 크다.
물에 한번 잠긴 전기기기는 재사용 전, 반드시 해당 제품 A/S센터나 전기공사 전문가에게 점검을 맡긴 후 사용한다.
쓰러진 가로수나 거리 입간판 등을 복구할 때도 가공전선로에 접촉되지 않도록 유의하여 작업해야 한다.

▶외출 시 = 집중호우 예보가 있거나 거리가 물에 잠긴 경우, 가능한 한 외출은 삼가 ㅎ하는게 좋다.
불가피하게 밖을 나가야 한다면, 보행 시 가로등이나 신호등, 맨홀 뚜껑 등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시설물 주의는 멀리 피해서 간다.
습한 날씨에 비나 물이 몸에 닿으면 평소보다 20배가량 전기가 잘 통해 감전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사고신고 = 폭우에 쓰러져 방치된 전신주나 가로등을 발견하면 가까이 가지 말고, 즉시 '119'(소방청)나 '123'(한국전력), '1588-7500'(한국전기안전공사)로 신고 전화를 한다.

▶감전사고 발생 시 = 만약 현장에서 감전사고가 일어나면 사고자를 구하려고 신체에 직접 손을 대어선 안 된다.
먼저 차단기부터 내리고 119에 신고한 뒤, 고무장갑이나 목재 등 절연체를 이용해 사고자를 전선이나 도체로부터 떼어놓는다.

▶응급조치 = 사고자를 안전한 곳으로 옮겨 의식과 호흡, 맥박 상태를 살핀 후, 구급대원이 올 때까지 심폐소생술 등의 응급조치를 한다.
사고 직후 심각한 증세를 보이지 않더라도, 작은 화상이 관찰되거나 골절 가능성이 있으면 즉시 병원으로 이송한다.
구급차가 오는 동안 함부로 물이나 음료 등을 주지 않는다.

[송부성 기자(=전북)(bss20c@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