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년 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베트남인 첫 증언

이지안 2022. 8. 9. 19: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한민국 정부가 학살의 진실을 인정하길 바랍니다."

베트남전에서 일어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 피해자 응우옌티탄(62·여)은 9일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왼쪽 배를 부여잡으며 호소했다.

임 변호사는 티탄씨에게 "한국군은 베트콩이 한국군 복장을 하고 학살했다고 한다. 한국 정부도 이 사건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 하고 싶은 말이 있는지 물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정부 상대 손배소 재판
베트남전 때 주민 74명 몰살 주장
'왼쪽배 총상' 생존자 티탄 법정 서
당시 軍 "韓군복 입은 베트콩 소행"

“대한민국 정부가 학살의 진실을 인정하길 바랍니다.”

베트남전에서 일어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 피해자 응우옌티탄(62·여)은 9일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왼쪽 배를 부여잡으며 호소했다. 티탄씨는 1968년 2월12일 베트남 광남성의 퐁니·퐁넛 마을에서 한국군 청룡부대 소속 군인들이 주민 74명을 학살한 사건의 생존자다. 티탄씨는 그날 가족 5명을 잃었다. 그도 8살의 나이에 왼쪽 배에 창자가 터져나오는 총상을 입었다.
9일 서울 서초구 민변 대회의실에서 열린 ‘베트남전쟁 민간인 학살 사건 국가배상 소송 원고 응우옌티탄 법정 진술 기자회견’에서 원고 티탄씨가 발언하고 있다.
이날 티탄씨는 서울중앙지법 민사68단독 박진수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손해배상 소송 변론기일에서 직접 피해 사실을 증언했다. 민간인 학살 관련 베트남인 피해자가 한국 법원에 출석해 진술한 것은 처음이다. 티탄씨는 2020년 한국 정부를 상대로 3000만원의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냈다.

티탄씨는 법정에서 그날의 기억을 상세히 진술했다. 그는 “12일 오전 마을에 총소리가 들리기 시작했고, 이모가 가족 모두 방공호에 들어가자고 했다. 방공호에 숨어 있는데 한국 군인들이 나오라고 소리쳤다. 수류탄을 보여주며 나오지 않으면 던지겠다고 했다. 이모가 무서우니 나가자고 했고, 오빠가 먼저 올라갔는데 가자마자 총에 맞았다. 저도 올라가자마자 총을 맞았다. 그후 한국군이 우리 집을 태우려고 했고, 이모가 이를 말리자 한국군이 이모를 여러 차례 칼로 찔렀다”고 설명했다.

티탄씨를 대리하는 임재성 변호사는 “그 사람들을 한국군이라고 기억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고, 티탄씨는 “한국 군인들은 쌍커풀이 없었고, 얼룩무늬 군복과 철모를 썼다. 또 우리가 알아들을 수 없는 소리를 냈다”고 답했다.

티탄씨의 삼촌 응우옌득쩌이(82)도 이날 함께 법정 증언에 나섰다. 그 역시 학살 현장의 목격자다. 당시 남베트남 농촌개발단에서 일했던 쩌이씨는 사건 당일 무전 내용을 듣고 퐁니마을로 이동, 학살을 목격한 뒤 생존자들을 구조했다. 그는 “당시 미군들과 함께 마을 입구에서 퐁니마을을 망원경으로 지켜봤다”며 “한국 군인들이 마을 주민들을 모았고, 마을 주민들이 (총에 맞아) 쓰러지자 수류탄을 던졌다”고 진술했다.

원고 측 대리인은 이날 학살 현장 사진도 제시했다. 왼쪽 가슴과 한쪽 팔이 잘린 여성의 사진을 보고 쩌이씨는 “저 여성을 직접 봤다”며 “아직 살아 있는 상태라 구조해 다낭으로 후송했으나 이후 사망했다”고 했다.

그러나 당시 한국군은 ‘퐁니·퐁넛 사건’이 우리 측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임 변호사는 티탄씨에게 “한국군은 베트콩이 한국군 복장을 하고 학살했다고 한다. 한국 정부도 이 사건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며 정부에 하고 싶은 말이 있는지 물었다. 티탄씨는“베트남에서 거짓을 말하러 온 게 아니다. 사실을 인정하고 우리를 위로해달라”고 했다.

정부 측 대리인은 이날 “베트남 정부나 법원에는 왜 퐁니 사건과 관련해 소송을 제기하지 않았는가”라고 물었다. 쩌이씨는 “남베트남이 아닌 북베트남이 전쟁에서 승리해 정부를 세웠기 때문에 소송을 낼 수 없었다”고 했다.

이지안 기자 eas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